이란 은행들은 그동안 정부의 엄격한 규제와 감시 속에 영업을 해왔다. FT에 따르면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전 이란 대통령은 이란 은행들이 저소득 소상공인에게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도록 강요하는 정책을 펴 이란 금융시장을 악화시켰다. 이 때문에 이란 은행 대출의 약 14%는 부실대출로 분류된다. 일각에선 실제 부실대출 비율이 2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은행에 요구되는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도 엄격하지 않다. 이란 은행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채택된 강화된 건전성 기준인 바젤Ⅲ 기준보다 낮은 수준인 바젤Ⅰ을 따르고 있다. 이란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취약하다는 얘기다. 파비즈 아길리 중동은행 최고경영자(CEO)는 “외국 은행이 이란 은행과 파트너십 맺기를 꺼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은행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높이는 개혁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발리올라 세이프 이란 중앙은행 총재는 “이란 은행들은 국제 기준에 뒤처져 있다”며 “국제 기준을 이란에도 도입해야 한 ?rdquo;고 말했다. 이란 중앙은행은 바젤Ⅲ를 맞추기 위해 이란 은행들이 자산을 매각, 건전성 기준을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란 은행들은 이 기준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모르테자 비나 중동은행 수석리스크매니저는 “금융개혁이 없다면 이란은 지난 5년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