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제, 창업 저변 넓힐 것
입학 땐 대기업 CEO 되는 게 꿈
"꼭 창업" 미국 학생들 태도에 충격
[ 오형주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138041_AA.11161222.1.jpg)
이승재 버킷플레이스 대표(29·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4년·사진)는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학생 창업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이같이 토로했다.
2013년 모바일 인테리어 정보 공유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인 버킷플레이스를 창업한 이 대표는 올해 1학기부터 시행되는 서울대 공과대학의 ‘창업대체학점제(학생들의 창업 활동을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를 이끌어 낸 주역 중 한 명이다. ▶본지 1월21일자 A1면 참조
이 대표가 작년 9월 학교 측에 먼저 창업대체학점제 도입을 제안한 이유는 ‘절박함’ 때문이었다. 2010년부터 스타 ??창업에 뛰어든 그는 당시 서울대의 휴학 가능 한도인 3년을 다 채운 상태였다. 학교에서 제적을 당하지 않기 위해선 올해 1학기엔 반드시 복학해야 했다. 이 대표는 “복학하면 아무래도 예전처럼 회사 일에 집중하긴 어려웠을 것”이라며 “많은 고생 끝에 이제 막 사업을 본궤도에 올려놨는데 이대로 포기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다”고 당시 상황을 털어놨다.
2006년 서울대 공대에 입학한 이 대표가 처음부터 창업가를 지망한 건 아니었다. 그는 “처음 공대에 들어갔을 땐 샐러리맨으로 시작해 황창규(KT 회장), 진대제(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회장) 같은 대기업 최고경영자(CEO)가 되는 것이 꿈이었다”며 “적당히 여행도 다니고 동아리 활동도 하는 등 평범한 생활을 했다”고 했다.
대기업 샐러리맨을 꿈꾸던 평범한 공대생의 마음이 창업으로 돌아선 계기는 2008년 태국 교환학생 시절이었다. 이 대표는 “당시 미국에서 온 학생들과 어울려 지냈는데 그들 중 대학에서 기업가 정신을 전공했다는 한 학생이 ‘미국에 돌아가면 꼭 창업을 할 것’이라고 늘 말하고 다녀 인상 깊었다”며 “창업을 누구나 쉽고 자연스럽게 시도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점에 충격받았다”고 회상했다.
이 대표는 2011년 태양광 쓰레기통 제조회사인 ‘이큐브랩’을 세운 데 이어 2013년 모바일 인테리어 정보 공유 앱(응용프로그램) ‘오늘의 집’을 운영하는 버킷플레이스를 창업하는 등 지금까지 6년째 창업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창업 열풍에 대해 “기존 대기업이 새로운 성 ?동력을 찾지 못하는 상황인 만큼 작고 혁신적인 조직들이 뭔가 새로운 걸 창출해내야 할 때”라며 “앞으로 최소 10년은 스타트업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이유에서 그는 “대학의 학사제도나 수업 등이 학생들의 창업 저변을 넓히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벤처나 창업 전공이 아니더라도 적어도 공대생이면 누구나 창업에 대한 감을 잡고 졸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