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중 전 과학기술처 장관 특별기고
"현대정공과 함께한 우주개발, 계속됐다면 한국 로켓 기술 10년 앞섰을 것"
이건희 회장, 이어도 관심…과학기지 건설 삼성중공업에 맡겨
물거품됐지만 '과학사랑' 남달라
우주개발 초석 다지던 1990년대, 정몽구 회장 '로켓개발 지원'
정부와 갈등으로 중단됐지만 당시 과학자들, 나로호 주역 돼
30여개 출연연구원, KIST에 뿌리
정부, 꿈꾸는 과학자 많아지게 과학기술 육성 정책 쏟아내야
1966년 2월4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출범했다. 같은 해 9월24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창립됐다. 그래서 올해를 과학기술 진흥 50년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과학기술 진흥 50년은 경제발전사와 맥을 같이한다. 과학자들이 척박한 환경에서 기술 토양을 제공했다면 산업역군들은 피땀을 쏟아 오늘날의 경제를 일으켜 세웠다. 이 과정에서 미래를 꿰뚫어보는 기업인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1990년대 초 과학로켓(KSR)과는 별도로 정몽구 현대정공 회장(현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우주 발사체용 액체로 ?기술 개발을 시도한 일이 있다. 정 회장의 지원으로 우주강국인 러시아에서 기술자들을 데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현대정공이 공동으로 액체로켓 기술 개발을 시도했다. 비록 중간에 좌초했지만 훗날 나로호 개발과 한국형 발사체(KSLV-2) 개발의 초석이 됐다.
1990년대 초는 선진국 기술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우주, 원자력, 해양 등 규모가 큰 연구에 대한 과학계의 열망이 커지던 때였다. 지난해 수출에 성공한 중소형 원자로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도 이때 씨앗을 뿌렸다.
2003년 완공돼 (해양)관할권 선점 효과를 가져온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짓겠다고 선뜻 나선 이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었다.
최근 벌어진 중국과의 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 관할권 논란 중심에는 이어도가 있다. 국토 최남단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149㎞ 떨어진 수중 암초는 2003년 해양과학기지가 들어서면서 한국이 실질적 관할권을 행사하고 있다. 주변 해역에는 막대한 자원이 매장돼 있고 중요한 해상 교통로여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제주도 전설로만 전해온 신비의 섬이던 이 수중 암초의 관할권을 확보한 데는 이동영·심재철 한국해양연구소(옛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의 공이 컸다.
1993년 4월 장관에 임명된 뒤 해양연구소를 찾은 자리에서 두 사람은 이어도란 암초에 작은 무인 관측소를 지어달라고 요청했다. 한반도 해류와 날씨 연구를 하고 싶다는 이유에서였다. 과학 연구뿐 아니라 관광산업과의 연계 효과도 커 보였다. 장관 취임 전 학교에서 체육위원 揚?하면서 미국 괌에 전지훈련을 간 일을 떠올렸다. 당시 학생들을 데리고 해양 관광명소를 들렀는데 거기서 민간 잠수함이 관광객을 가득 태우고 바닷속 생물을 관람하는 모습을 봤다. 이어도도 가능할 것 같았다. 우선 중국·일본과의 외교 문제를 챙겨야 했다. 미국에서 저명한 해양법 전문가를 불러 국제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문제는 암초에 과학기지를 세우는 일을 맡을 회사를 선정하는 일이었다. 헬리콥터 관광사업을 하고 있던 한진관광은 사업 제안을 받자마자 자신이 없다며 포기했다. 삼성그룹 계열사이던 삼성관광에 제안했지만 감감무소식이었다. 화답을 해온 이가 지금 안타깝게도 병상에 있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다.
훗날 들은 얘기지만 이 회장은 독일 출장을 다녀온 뒤 소식을 듣고 “당연히 국가사업인데 협조해야지”라며 “삼성관광 말고 삼성중공업이 맡아 진행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사업은 김영삼 정부와 삼성의 관계가 악화하면서 아쉽게 물거품이 됐다. 우여곡절 끝에 2003년에 가서야 현대중공업이 사업을 마무리했다. 당시 인천에서 열린 준공식에 초청받아 가동 버튼을 누르며 그 어느 때보다 가슴이 뭉클했다.
필자가 장관으로 있던 1993년 무렵은 이처럼 과학기술계에 선제 투자와 역동성이 강조되던 시기였다. 1960년대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민간 과학단체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이 설립되면서 과학기술의 기반을 닦은 시기였다면 1970년대는 선진국 연구를 모방하고 산업화하는 시기였다. 전두환·노태우 정부도 경제 성장에 초점을 두다 보니 과학계에 이렇다 할 큰 변화가 없었다.
김 돐?정부 출범 이후 과학기술계는 활력을 찾았다. 1980년대 한국 경제가 크게 성장하면서 과학기술 분야에 선제적이고 장기적인 투자가 가능해진 덕분이다. 1993년 2월18일 취임을 앞둔 김영삼 대통령 당선인이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던 김 당선인은 “과학기술계에는 왜 그리 말이 많으냐”며 “과학기술처를 맡아 신한국 창조를 위해 일하자”고 했다. 과학로켓과 나로호, 한국형 발사체로 이어지는 우주 개발의 첫발을 내디딘 시기도 바로 이때다.
1980년대 한국에선 로켓 개발은 꿈도 꿀 수 없었다. 미사일로 전용될 수 있는 장거리 로켓 개발을 포기하겠다는 미국과의 약속 탓에 로켓이란 말조차 꺼내지 못했다. 1992년 발사한 한국의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개발한 것도 미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우회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우주발사체에 사용될 액체로켓 개발도 조심스럽게 시동을 걸었다. 1993년 4월 충남 안흥 발사장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과학로켓 2호 발사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모두 발사에 성공했다고 들떠 흥분했지만 필자는 오히려 실망감이 컸다. 고작 150㎞ 날아가는 로켓으론 만족하기 일렀다. 채연석·유장수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책임연구원 등 5명의 과학자를 불러 더 멀리 쏘아 올릴 액체로켓 기술을 개발하도록 주문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우주사업에 관심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에 협조를 요청했다. 러시아 로켓 기술자들도 불러왔고, 기술을 공부할 발사대도 옮겨왔다. 마북리 연구소에서 항우연 과학자 20명에게 현대정공이 초청한 3명의 러시아 기술자들로부터 액체 발사체 기술을 전수받게 했다. 모든 일은 조심스럽게 진행됐고, 이 과학자들이 훗날 나로호 개발의 주역이 됐다.
그러나 1995년 김영삼 정부와 현대가 갈등을 빚으며 현대의 우주 개발 노력은 중단됐다. 그동안 투자한 비용을 떠나 성공했더라면 한국 액체로켓 연구는 지금보다 10년 정도 앞섰을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당시 참여한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통신·기상·관측용 인공위성을 우리 손으로 만들고, 달 탐사 계획을 추진하게 된 것은 우리 과학기술계의 쾌거임에 틀림없다.
이런 저력은 50년 전 한국 과학 태동기에는 상상하기조차 어려웠다. 필자가 장세헌 서울대 교수의 권유로 고려대 조교 생활을 시작한 1955년 무렵 이공계의 사정은 참담했다. 새로 개설한 화학과는 40평 정도의 연구실을 화학 물리 생물 실험실로 나눠 써야 했을 정도였다. 수도와 전기는 물론이고 변변한 실험기구도 없었다. 시약은 청주 병에 넣어둬야 했다.
1953년부터 미국 국제개발처(AID)의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통해 이공계 실험용 기자재가 들어오고 서울대 의대·농대·공대 교수들을 유학 보내기 시작하면서 과학기술의 태동기가 열렸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400191_01.11174701.1.jpg)
1956년 미국과 맺은 ‘한미원자력협정’도 우리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문교부에 원자력과가 설치되고, 이학·공학·농학 등 과학기술계 인사 237명을 국비 유학생으로 해외에 파견했다. 1963년 제3공화국이 출범하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시작됐다. ‘잘 살아보자’는 구호를 내건 ‘새마을 운동’
"현대정공과 함께한 우주개발, 계속됐다면 한국 로켓 기술 10년 앞섰을 것"
이건희 회장, 이어도 관심…과학기지 건설 삼성중공업에 맡겨
물거품됐지만 '과학사랑' 남달라
우주개발 초석 다지던 1990년대, 정몽구 회장 '로켓개발 지원'
정부와 갈등으로 중단됐지만 당시 과학자들, 나로호 주역 돼
30여개 출연연구원, KIST에 뿌리
정부, 꿈꾸는 과학자 많아지게 과학기술 육성 정책 쏟아내야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400191_AA.11173359.1.jpg)
1990년대 초 과학로켓(KSR)과는 별도로 정몽구 현대정공 회장(현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우주 발사체용 액체로 ?기술 개발을 시도한 일이 있다. 정 회장의 지원으로 우주강국인 러시아에서 기술자들을 데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현대정공이 공동으로 액체로켓 기술 개발을 시도했다. 비록 중간에 좌초했지만 훗날 나로호 개발과 한국형 발사체(KSLV-2) 개발의 초석이 됐다.
1990년대 초는 선진국 기술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우주, 원자력, 해양 등 규모가 큰 연구에 대한 과학계의 열망이 커지던 때였다. 지난해 수출에 성공한 중소형 원자로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도 이때 씨앗을 뿌렸다.
2003년 완공돼 (해양)관할권 선점 효과를 가져온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짓겠다고 선뜻 나선 이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었다.
최근 벌어진 중국과의 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 관할권 논란 중심에는 이어도가 있다. 국토 최남단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149㎞ 떨어진 수중 암초는 2003년 해양과학기지가 들어서면서 한국이 실질적 관할권을 행사하고 있다. 주변 해역에는 막대한 자원이 매장돼 있고 중요한 해상 교통로여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제주도 전설로만 전해온 신비의 섬이던 이 수중 암초의 관할권을 확보한 데는 이동영·심재철 한국해양연구소(옛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의 공이 컸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400191_AA.11174715.1.jpg)
문제는 암초에 과학기지를 세우는 일을 맡을 회사를 선정하는 일이었다. 헬리콥터 관광사업을 하고 있던 한진관광은 사업 제안을 받자마자 자신이 없다며 포기했다. 삼성그룹 계열사이던 삼성관광에 제안했지만 감감무소식이었다. 화답을 해온 이가 지금 안타깝게도 병상에 있는 이건희 삼성 회장이다.
훗날 들은 얘기지만 이 회장은 독일 출장을 다녀온 뒤 소식을 듣고 “당연히 국가사업인데 협조해야지”라며 “삼성관광 말고 삼성중공업이 맡아 진행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사업은 김영삼 정부와 삼성의 관계가 악화하면서 아쉽게 물거품이 됐다. 우여곡절 끝에 2003년에 가서야 현대중공업이 사업을 마무리했다. 당시 인천에서 열린 준공식에 초청받아 가동 버튼을 누르며 그 어느 때보다 가슴이 뭉클했다.
필자가 장관으로 있던 1993년 무렵은 이처럼 과학기술계에 선제 투자와 역동성이 강조되던 시기였다. 1960년대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민간 과학단체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이 설립되면서 과학기술의 기반을 닦은 시기였다면 1970년대는 선진국 연구를 모방하고 산업화하는 시기였다. 전두환·노태우 정부도 경제 성장에 초점을 두다 보니 과학계에 이렇다 할 큰 변화가 없었다.
김 돐?정부 출범 이후 과학기술계는 활력을 찾았다. 1980년대 한국 경제가 크게 성장하면서 과학기술 분야에 선제적이고 장기적인 투자가 가능해진 덕분이다. 1993년 2월18일 취임을 앞둔 김영삼 대통령 당선인이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던 김 당선인은 “과학기술계에는 왜 그리 말이 많으냐”며 “과학기술처를 맡아 신한국 창조를 위해 일하자”고 했다. 과학로켓과 나로호, 한국형 발사체로 이어지는 우주 개발의 첫발을 내디딘 시기도 바로 이때다.
1980년대 한국에선 로켓 개발은 꿈도 꿀 수 없었다. 미사일로 전용될 수 있는 장거리 로켓 개발을 포기하겠다는 미국과의 약속 탓에 로켓이란 말조차 꺼내지 못했다. 1992년 발사한 한국의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개발한 것도 미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우회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우주발사체에 사용될 액체로켓 개발도 조심스럽게 시동을 걸었다. 1993년 4월 충남 안흥 발사장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과학로켓 2호 발사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모두 발사에 성공했다고 들떠 흥분했지만 필자는 오히려 실망감이 컸다. 고작 150㎞ 날아가는 로켓으론 만족하기 일렀다. 채연석·유장수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책임연구원 등 5명의 과학자를 불러 더 멀리 쏘아 올릴 액체로켓 기술을 개발하도록 주문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우주사업에 관심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에 협조를 요청했다. 러시아 로켓 기술자들도 불러왔고, 기술을 공부할 발사대도 옮겨왔다. 마북리 연구소에서 항우연 과학자 20명에게 현대정공이 초청한 3명의 러시아 기술자들로부터 액체 발사체 기술을 전수받게 했다. 모든 일은 조심스럽게 진행됐고, 이 과학자들이 훗날 나로호 개발의 주역이 됐다.
그러나 1995년 김영삼 정부와 현대가 갈등을 빚으며 현대의 우주 개발 노력은 중단됐다. 그동안 투자한 비용을 떠나 성공했더라면 한국 액체로켓 연구는 지금보다 10년 정도 앞섰을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당시 참여한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통신·기상·관측용 인공위성을 우리 손으로 만들고, 달 탐사 계획을 추진하게 된 것은 우리 과학기술계의 쾌거임에 틀림없다.
이런 저력은 50년 전 한국 과학 태동기에는 상상하기조차 어려웠다. 필자가 장세헌 서울대 교수의 권유로 고려대 조교 생활을 시작한 1955년 무렵 이공계의 사정은 참담했다. 새로 개설한 화학과는 40평 정도의 연구실을 화학 물리 생물 실험실로 나눠 써야 했을 정도였다. 수도와 전기는 물론이고 변변한 실험기구도 없었다. 시약은 청주 병에 넣어둬야 했다.
1953년부터 미국 국제개발처(AID)의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통해 이공계 실험용 기자재가 들어오고 서울대 의대·농대·공대 교수들을 유학 보내기 시작하면서 과학기술의 태동기가 열렸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400191_01.11174701.1.jpg)
1956년 미국과 맺은 ‘한미원자력협정’도 우리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문교부에 원자력과가 설치되고, 이학·공학·농학 등 과학기술계 인사 237명을 국비 유학생으로 해외에 파견했다. 1963년 제3공화국이 출범하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가 시작됐다. ‘잘 살아보자’는 구호를 내건 ‘새마을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