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고가 15만원 '초저가' 등장…편의점서도 판매
[ 안정락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649571_AA.11182114.1.jpg)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들이 이른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내세운 전용 스마트폰으로 가입자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SK텔레콤은 자체적으로 기획하고 중국 제조사 TCL알카텔에 생산을 맡긴 중저가 스마트폰 ‘쏠(Sol)’을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KT가 작년 11월 말 선보인 삼성전자의 ‘갤럭시J7’, LG유플러스가 최근 출시한 화웨이 ‘Y6’ 등도 대표적인 전용폰이다.
전문가들은 이통 3사가 앞으로 전용폰 제품군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형 스마트폰 제조사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기획한 전용폰 등을 통해 중저가폰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이다.
○SKT ‘쏠’ 초반 돌풍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649571_AA.11176776.1.jpg)
SK텔레콤은 쏠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보조금을 최대 33만원(밴드데이터100 요금제 기준)까지 지원한다. 33만원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정한 공시지원금 상한액이다. 쏠의 출고가가 39만9300원인 것을 감안하면 공시지원금 33만원과 유통점 추가 지원금(4만9500원)을 더할 경우 제품을 1만9800원에 구입할 수 있다. 소비자들이 많이 선택하는 요금제인 ‘밴드데이터59 요금제’로 가입하면 공시지원금은 24만6000원이다.
쏠은 미디어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 트렌드를 반영해 5.5인치 화면에 듀얼 스피커 등을 탑재했다. JBL 고급 이어폰과 대용량 외장 배터리 등을 기본으로 준다. 134g의 가벼운 무게도 장점이다.
SK텔레콤은 전국 약 100곳에 쏠 전문 애프터서비스(AS)센터를 운영하고 지속적인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를 해줄 예정이다.
○KT ‘갤럭시J7’ 10만대 판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649571_AA.11176770.1.jpg)
갤럭시J7은 5.5인치 슈퍼 아몰레드(AMOLED)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고화질 영상을 깨끗하게 구현한다. 3000mAh 용량의 탈착식 배터리를 장착했으며 삼성전자의 고급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퀵 카메라’ 기능도 갖췄다.
갤럭시J7의 출고가는 37만4000원이다. KT의 5만9900원짜리 ‘LTE 599’ 요금제에 가입하면 공시지원금 29만원을 받을 수 있다. 유통점에서 주는 추가 지원금까지 더하면 총 33만3500원을 보조금으로 받을 수 있다. 구매 가격이 4만원 수준으로 떨어지는 셈이다.
KT 관계자는 “J7은 별도의 광고나 이벤트 없이도 입소문만으로 판매량이 늘고 있다”며 “삼성전자 제품이라 AS가 좋은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KT에 따르면 갤럭시J7의 주요 고객은 40~50대 중장년층과 10대 청소년층이다.
○LG유플러스 ‘Y6’ 편의점 판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1/2016012649571_AA.11176775.1.jpg)
Y6는 지난해 12월 출고가 15만4000원에 출시됐다. 국내에서 판매하는 스마트폰 가운데 가격이 가장 저렴해 이른바 ‘초저가폰’으로 불린다. 게다가 LG유플러스의 데이터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월 2만9900원짜리 ‘뉴 음성무한 29.9’ 요금제를 선택해도 총 15만4000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사실상 ‘공짜’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셈이다.
Y6는 스마트폰 통화는 물론 ‘070 인터넷전화’로도 이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평소에는 스마트폰으로 쓰다가 와이파이가 잡히는 곳에서는 인터넷전화로 전환해 쓸 수 있다. 5인치 고화질 디스플레이와 800만화소 카메라를 장착했다. 저렴한 가격에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출시 후 한 달 만에 2만대 이상 판매됐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