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희근 연구원은 "현대차와 기아차는 DCT를 가솔린 터보와 디젤은 물론, 아이오닉 등 신규 친환경차에도 장착하기 시작했다"라며 "올해 DCT 관련 총매출은 지난해 250여억원에서 510여억원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현대·기아차 신차와 친환경차의 DCT 장착 증가, 폭스바겐 및 아우디 매출 확대 등으로 실적이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삼기오토모티브의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3.5%와 13.4% 증가할 것으로 봤다.
채 연구원은 "세계적으로 원가절감 추세가 강화되면서 유럽 성향을 보이는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도 DCT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신규 고객의 수주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