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일로 중국이 사드 배치를 극히 경계한다는 것이 거듭 확인됐다. 중국이 북한산 석탄 수입금지 및 항공유 수출금지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진 UN의 초강력 대북(對北) 제재 방안에 미국과 합의한 데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관측이다.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42%로 10억달러를 넘는다. 북의 타격이 클 것이다. 사실 중국도 고민이 많다. 북이 비핵화원칙을 정면으로 깨고 있는 것은 중국에 득 될 게 하나도 없다. 대북 통제력도 떨어졌다. 그렇다고 당장 북한 정권을 포기하기도 어렵다. 중국이 초강력 대북 제재에 합의하면서도 북한 주민의 생활까지 곤란하게 만들어선 안 된다는 입장인 것도 그래서다. 중국이 미·북 평화협정을 제안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지만 중국은 언제까지 북을 옹호하고 있을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미·북 대화보다 한·중 간 대화가 더 필요하다. 북의 급변 사태를 포함해 ‘그 이후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시급하다. 한·중 관계는 결코 한두 개 사건으로 일희일비할 수 없다. 국내 일각에서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의 경제적 보복 가능성을 거론하지만 이는 단견이다. 한·중 간 교역 규모가 이처럼 커진 상황에서 무역분쟁이 벌어지면 양국 모두 큰 타격을 피할 수 없다.
경제 관계가 긴밀할수록 평화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칸트의 통찰이다. 정부는 대북 문제에 대해 보다 높은 차원의 비전이 필요하다. 그래야 중국에도 신뢰를 줄 수 있다. 통일로 가는 기나긴 노정에서 숱한 변수와 난관이 있을 것이다. 사드 갈등은 그 작은 사례일 뿐이다. 긴장을 감내할 수 있어야 한다. 시중 여론은 너무 졸갑증을 떤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