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중에는 성과와는 무관한 고정급 비중이 높았다. 조사 대상 기업 CEO의 보수 중 78%가 기본급 고정상여 등 고정급이었고 성과급은 21%에 그쳤다. 상대적으로 성과급 비중이 큰 업종은 금융업종으로 보수에서 성과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37%였다. 유고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연구원은 “국내 기업 CEO들은 고정급 비중이 높다 보니 CEO 전체 보수의 85%가 성과급인 미국과 비교하면 성과 연동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말했다.
CEO 중에서도 지배주주 보수(13억원)가 전문경영자(12억3000만원)보다 소폭 높았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