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시장이 모처럼 기지개를 켜자 이제 바닥을 찍고 상승세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다소 성급한 전망도 나온다. 근거도 나름대로 그럴듯하다. 원유는 산유국들이 11일 모여 감산을 논의할 것이며 OPEC은 배럴당 50달러라는 새로운 가격 목표를 추구하고 있다는 소문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철광석이나 구리 등은 중국의 경기 부양책으로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게 작용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회복이 아직 불투명한 마당에 원자재 강세가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그보다는 양적 완화와 마이너스 금리로 풀린 돈이 가격 메리트가 있는 원자재 시장에 일시적으로 몰리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최근 원자재 가격 강세는 수급보다는 통화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는 얘기다. 과거 1970~80년대 1, 2차 오일쇼크 ㏊?유가를 급등시킨 것은 중동전쟁과 이란혁명, 달러약세 등 수급 이외 요인들이었다.
최근 유가 강세는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둔화 예상과 달러 약세에 따른 것으로 추세적 상승은 어렵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금리인상이 주춤해질 것이란 예상으로 지난 1월에만 약 140억달러가 원자재 시장에 유입됐다”고 보도했다. 단기 차익을 노린 투기적 자금이 몰려들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너스 금리로 풀린 돈은 당분간 원자재 시장을 투기판으로 바꿔놓을 것이다. 변동성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차원에서 시장을 봐야 할 때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