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홍 녹십자 종합연구소장
올해 미국 FDA 허가 눈앞
혈액제제 '글로벌 빅5' 목표
[ 김형호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0910271_AA.11378576.1.jpg)
박두홍 녹십자 종합연구소장(사진)은 “모든 역량을 미국 시장 진출에 쏟아부을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녹십자가 2년간 미국에서 임상시험한 면역글로불린인 아이비글로불린(IVIG)은 하반기께 FDA 최종 허가를 앞두고 있다. 허가를 받으면 미국에 진출하는 국내 첫 혈액제제 의약품이 된다.
면역글로불린은 면역질환 치료제로 혈장에서 추출한 혈액분획제제이기 때문에 혈액원을 보유한 제약사만 생산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10개사에 불과하다. 박 소장은 “면역글로불린 5% 함유 제품이 허가를 앞둔 것과 별도로 10%제품의 북미 임상도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R&D 예산을 지난해보다 30% 이상 늘려 잡은 것도 글로벌 임상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선 아이비글로불린 허가가 나오면 첫해인 내년 매출은 300억원, 2020년에는 2000억원 규모까지 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녹십자는 올해 북미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희귀질환 치료제인 헌터라제가 미국 진출을 위한 3상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올해 R&D 예산을 1300억원으로 늘린 이유다.
녹십자는 2019년까지 혈액제제 생산능력 ‘글로벌 빅5’가 목표다. 박 소장은 “캐나다 퀘벡 공장이 연말에 완공되고 충북 오창공장 증설까지 마무리되면 현재 연 100만L 생산능력이 250만L로 늘어나 세계 5위권에 올라선다”고 설명했다.
녹십자가 주목하는 롤모델은 호주 CSL이다. 2000년대까지 매출 3000억원 규모였던 CSL은 단기간에 혈액제제 분야 최강자로 떠올라 연매출 6조~7조원대 글로벌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박 소장은 “CSL은 전략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혈액제제 시장을 주도한 뒤 노바티스 독감백신사업을 인수해 세계적인 제약사가 됐다”며 “CSL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녹십자와 비슷하기 때문에 더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소장은 기초연구와 실용연구가 분리된 연구체계를 녹십자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꼽았다. 그는 “신물질 발굴과 이를 개발하는 연구자들의 접근법은 달라야 한다”며 “녹십자 공익재단인 목암연구소는 후보물질 발굴 등의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녹십자연구소는 그 후보물질 상용화에 주력한다”고 설명했다. 박 소장도 목암연구소장 출신이다. 두 연구기관을 합친 녹십자의 전체 연구인력은 약 480명으로 국내 최고 수준이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