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이어령 외 지음/ 프런티어/ 348쪽/ 1만5000원
[ 고재연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1751591_01.11416778.1.jpg)
영화 ‘불의 전차’에는 영국 국가대표 육상 선수인 아브라함과 리델이 등장한다. 아브라함은 1등이 되기 위해 달렸고, 리델은 신이 주신 재능을 즐긴다는 마음으로 뛰었다. 두 사람은 19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해 100m와 400m에서 각각 금메달을 땄다. 금메달을 거머쥔 뒤 두 사람의 표정은 확연히 달랐다. 아브라함의 얼굴엔 허망함이 가득했고, 리델은 그 누구보다 환희에 찬 얼굴을 하고 있었다.
강성모 KAIST 총장은 두 사람이 느낀 행복감의 차이에 대해 “승리라는 ‘쾌락’은 소멸하는 가치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아브라함은 승리 후 목표를 잃어버렸지만, 리델은 달랐다. 강 총장은 “리델이 설정한 삶의 비전은 신앙이었고, 올림픽 금메달이란 목표는 그 비전을 이뤄가는 과정 중 하나였기에 자신의 성취를 온전히 기뻐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두 사람의 일화는 우리에게 ‘행복이란 무엇인가’라는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던져준다. 누구나 행복하기를 꿈꾸 嗤?‘행복해지는 법’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우리는 무엇으로 행복해지나》는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 이어령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 이사장, 강 총장 등 우리 시대의 석학으로 꼽히는 8인의 ‘행복론’을 담았다.
‘한국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김 명예교수는 행복론을 설파하기 전에 ‘본능적 욕망’과 ‘정신적 욕망’을 구분한다. 성욕, 식욕, 권력욕 등 본능적 욕망은 소유에 한계가 있고, 필연적으로 남의 것을 빼앗거나 빼앗기게 된다. 본능적 욕망을 충족시켰을 때 잠깐은 기쁘지만, 이내 상실감과 불안을 느끼는 이유다. 정신적 가치를 추구할 때 이야기는 달라진다. 음악을 사랑할 때, 학문과 진리를 통해 성취를 얻었을 때, 도덕적 가치를 구현해 나갈 때 느끼는 기쁨은 빼앗기는 것이 아니다. 그는 여러 가지 정신적 가치 중에서도 성실과 사랑을 행복의 두 기둥으로 정의했다.
이 이사장은 새로운 시대에 맞는 배움과 창조의 틀에서 행복을 바라본다. 개인이 자신의 삶 자체를 창조하고 즐기며 지성을 쌓아가는 ‘낙지자(樂之者)’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순간의 승리와 승진 등 작은 욕망에 휘둘리지 말고 일 그 자체와 하나가 돼 즐기라는 뜻이다.
하지만 ‘하고 싶은 일’만 해도 모자란 시간에 ‘해야 할 일’까지 즐기는 것은 쉽지 않다. 해야 할 일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은 무엇일까. 바로 ‘몰입’이다. 누구나 마감 시간에 임박해 초인적인 몰입 능력을 발휘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설령 우리가 하기 싫었던 일이라 할지라도 ‘몰입’의 지경을 경험하면 묘한 카타르시스가 느껴진다. 황 錯?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인간은 더 많이 행복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1751591_AA.11416242.1.jpg)
저자들은 행복에 대해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 타인 지향적 삶이 아니라 자기 지향적 삶을 살 때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진리에 다다른다. 자신의 분야에서 대가를 이룬 이들이 전하는 삶의 지혜와 경험들은 덤이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