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수 (주) 한화 방산부문 인재개발팀장
자소서엔 추상적 표현 금물…저학년 때부터 진로 준비해야
[ 공태윤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2858871_01.11465708.1.jpg)
김한수 (주)한화 방산부문 인재개발팀장(사진)은 지난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취업 준비생 입장에서 채용 공고만 보고서도 합격 이후 맡게 될 업무 등을 알 수 있게 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삼성테크윈과 삼성탈레스를 인수한 (주)한화 방산 부문은 다음달 4일까지 입사 지원서를 받는다. 채용은 경영관리, 생산·품질관리, 연구개발 등 3개 분야에서 진행한다. (주)한화 방산부문은 최근 정밀 유도무기와 수중감시 체계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계, 항공, 전자, 전기, 컴퓨터, 제어, 물리, 산업공학 등의 다양 ?전공자를 뽑는다.
김 팀장은 “연구개발(R&D) 직무는 석·박사 지원자를 우대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학사 지원자 채용 비중도 낮지 않다”고 말했다. 학사도 잠재력이 충분하다면 R&D 직군 입사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한화는 학사 출신을 채용한 뒤 성과에 따라 석·박사 학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의 채용 현황과 달리 (주)한화 방산부문은 지난해 신입 채용 인원이 경력 채용보다 많았다. 김 팀장은 “지난해 신입 채용은 162명, 경력은 22명을 뽑았다”며 “비율로 따지면 88%가 신입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도 신입 채용에 더 무게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3/2016032858871_AA.11465302.1.jpg)
(주)한화 방산 부문에 취업할 때 방산과 관련된 전공과 경험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김 팀장은 “지원자들이 방산 관련 직무경험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지원조차 하지 않는 경우를 봤다”며 “R&D 직군의 석·박사도 방산 관련 직무 경험이 없는 지원자가 대부분”이라고 했다.
그는 신입사원 채용은 잠재 역량을 우선시하고 세부 역량은 입사 후 교육을 통해 계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자기소개서와 면접 때 상투적이고 뜬구름 잡는 듯한 말은 신뢰감을 떨어뜨린다”며 “구체성이 담긴 자신만의 스토리를 담아 이야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4학년 때 취업 준비를 하면 이미 늦다”며 “대학 2~3학년 때부터 자신이 잘 하는 것을 토대로 역량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