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세자의 마음을 알아야 한다' 가슴으로 이해하기 30년 걸려
고졸 9급에서 지방청장까지 퇴직 후엔 각종 기부·봉사활동
[ 이미아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4/2016041018971_AA.11526441.1.jpg)
고졸 국세청 9급 공무원에서 지방국세청장까지 올라 국세청에서 입지전적인 인물로 통하던 조용근 전 대전지방국세청장(71·사진)은 최근 서울 서초동 세무법인 석성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조 전 청장은 지난 1월 말 36년간의 공직생활을 담은 자서전 《나는 평생 세금쟁이》를 출간, 지난 4일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그는 “머리에서 가슴까지 길이가 30㎝ 남짓밖에 안 되는데, ‘납세자의 마음을 알아야 한다’는 진리를 머리로만 이해했다가 가슴으로 공감하기까지 30년이 넘게 걸렸다”며 “나의 시행착오와 실패담을 솔직하게 남겨서 후배들이 존경받는 세무공무원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썼다”고 설명했다.
2004년 퇴직한 뒤 2007년부터 4년간 한국세무사회장을 지낸 조 전 청장 앞엔 세무법인 석성 회장과 석성장학회 회장, 천안함재단 이사장 등 다양한 직함이 따라다닌다. 이 직함들을 통해 중증장애인과 탈북민, 다문화가정 자녀 등 소외 계층 지원에 나서고 있다. 세무법인 석성의 매출 중 1%가 석성장학회 기금으로 쓰인다. 그는 “‘석성(石成)은 아버지와 어머니 성함의 가운데 글자를 따서 지었다”며 “경남 진주에서 무학(無學)의 가난한 부모 밑에서 자란 ‘흙수저’지만 항상 감사하며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자는 마음으로 장학회를 세웠다”고 말했다. “‘돈 안 되는 직함’들입니다. 대부분 기부활동과 연관돼 있어요. 천안함재단 이사장직은 2010년 KBS에서 성금 관리를 부탁하면서 맡았습니다. 인생 전반을 남에게 뭔가 받는 ‘테이커(taker)’로 보냈다면, 후반엔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기버(giver)’로 살아야죠.”
조 전 청장은 “세무공무원이 세상 물정에 조금 더 밝았으면 좋겠다”며 “특히 기업에 과세할 땐 해당 기업이 속한 업계의 속성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데 아직 그렇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무리 위대한 사람이라도 세금문제 앞에선 바닥을 드러내게 마련”이라며 “납세자가 낸 세금으로 녹을 먹고 사는 공무원으로서 납세자에게 ‘갑질’하는 모습으로 비쳐지기보다는, 성실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으로 새롭게 인식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세청 직원은 공복(公僕)입니다. 엄정한 법 집행은 물론 정말 중요하죠. 이와 함께 개인과 기업의 절세를 도와주는 컨설팅 역할도 강화해야 합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3월 안에 반드시 매수해야 할 3종목! 조건 없이 공개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