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제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당선자 수를 결정하는 선거제도이다. 대·소선거구제 하에서 왜곡된 의석을 보정하고 소수 정당의 원내 진출을 돕기 위해 도입됐다. 17대 총선부터 정당 투표를 따로 하는 정당명부식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총선 투표일을 이틀 앞두고 국민의당 지지율이 올라 결과가 주목된다. 국민의당은 공식 선거전 시작 전만 해도 지지율이 10% 안팎에 머물러 비례대표로 5, 6석을 얻을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당 지지율이 10% 중반대로 급등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현재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가 첫 도입된 2004년 17대 총선때는 민노당이 최대 수혜자였다. 민노당은 당시 비례대표 56석 중 열린우리당 24석, 한나라당 21석에 이어 8석을 얻는 돌풍을 일으켰다. 새천년민주당은 4석에 그쳤다.
민노당은 당시 지역구 의석이 2석뿐이었지만 이의 4배에 달하는 비례대표 의석을 더해 두 자릿수 의석수를 채우고 원내 3당으로 도약했다. 지금의 정의당 심상정 대표와 노회찬 전 의원도 이때 비례대표로서 여의도에 첫 입성했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박근혜 정당'을 표방한 친박연대가 54석 중 8석을 얻어 두 번째 돌풍의 주인공이 됐다. 한나라당이 22석, 통합민주당이 15석을 차지했다. 친박연대에 이어 자유선진당, 민노당, 창조한국당은 각각 4석, 3석, 2석을 얻었다.
2012년 19대 총선 결과 전체 54석 중 통합진보당이 6석을 차지하면서 진보정당의 비례대표 강세를 재확인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각각 25석, 21석으로 양강 구도를 유지했다. 자유선진당도 2석을 얻었다.
이번 20대 총선에서는 기존 선거구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 불합치 결정 이후 비례대표 의석수가 47석으로 줄어들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ope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