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미사일은 이동식 발사대가 장착된 차량(TEL)에서 발사된 후 주엔진과 보조엔진의 출력으로 비행자세를 잡고 공중으로 솟구친 다음 목표물을 향해 포물선으로 비행하는 원리이다.
미사일 하단의 주엔진이 정위치에 자리를 잡아야 하고 보조엔진도 제대로 작동해야만 수직으로 상승 비행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북한이 이날 처음으로 발사한 무수단 미사일은 이동식 수직 발사대를 떠난뒤 수직 방향으로 제대로 자세를 잡고 솟구치기 전에 공중 폭발해 엔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엔진에는 연료통으로 연결되는 여러 노즐이 있는데 이 중 하나에서 결함이 발생해 연료나 산화제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무수단 미사일은 '다이메틸 하이드라진(UDMH)'이라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데 이 연료는 추진력을 높여주도록 질산을 산화제로 사용한다.
노즐에서 문제가 생겨 연료나 산화제가 유출됐다면 점화된 분사구 불꽃과 만나 순식간에 연료통을 폭발시킬 수 있다.
북한이 지난 2007년 실전 배치한 무수단 미사일은 한 번도 시험 발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 전략사령부 미사일 전문가들도 실패 원인을 놓고 적잖이 당혹해 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관련자들을 대거 문책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이 이날 오전 5시30분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에서 이뤄진 발사 과정을 지켜봤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25일 북한군 창건일 이전에 무수단 미사일을 재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다음달초 노동당 7차 당대회 전까지는 핵실험이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비행시험 등 '전략적 도발'을 계속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