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이렇게까지 강한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달러화 강세가 지속됨에 따라 앞으로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돼 있다. 더구나 올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대미 무역 흑자국에 대한 대중의 불만을 그냥 둘 수 없는 상황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올릴 때 근간이 된 것은 바로 고용지표였다. 완전고용에 가까운 고용지표가 나왔던 그 배경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제조업 육성책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발전이 제조업이 아닌 금융 서비스업만을 중심으로 발전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를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통해 경험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제조업을 되살리자고 강조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해외에 나가 있던 기업체들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오는 ‘리쇼어링(reshoring)’ 현상으로 인해 경기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꾀할 수 있었다. 여기에 2014년 하반기 이후 셰일가스 생산량 확대로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제조업체의 비용 부담이 줄어들었다.
그러던 것이 미 달러화 강세로 제동이 걸렸다는 게 미국 정부의 판단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그동안 정치적 수사에 그쳤던 환율보고서를 강력한 무기로 탈바꿈시켰다. 앞으로 미국의 이런 정책과 관련해 각 나라는 환율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고스란히 수출 관련주의 주가 향방을 좌우할 수 있는 요소다. 추이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