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심기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0597001_01.11642576.1.jpg)
전통적인 비즈니스 방식을 파괴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글로벌 콘퍼런스에서는 사회공헌과 수익 두 가지를 모두 실현하는 ‘소셜임팩트’ 기업으로 탐스슈즈의 성공사례가 발표됐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0597001_AA.11642167.1.jpg)
그는 “단순히 신 像?보내는 데 그치지 않고, 인도 케냐 에티오피아 등에 공장을 설립해 직접 생산하면서 일자리까지 창출하는 것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켰다”고 말했다. 얼핏 보면 현지 생산이 비용 측면에서 손해일 것 같지만 운송비가 들지 않고, 인건비가 적게 드는 데다 마케팅에 돈을 쓰지 않아도 돼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다. 마이코스키 CEO는 “이제 기업은 이윤이 아닌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지속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친환경 식품업체 홀푸드의 존 매키 공동 CEO는 미국 전역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한 소액신용대출 사업을 통한 성공사례를 발표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회사 수익에 도움이 안 된다고 볼 수 있겠지만 주주들과 경영진은 고객의 삶이 개선되고 그 결과가 우리의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홀푸드는 약 2000만달러를 지역주민 250명에게 연 5%의 금리로 지원해왔다. 매키 CEO는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수익에 급급하기보다는 기업의 존재 가치를 사회에 인식하려는 전략이 중요하다”며 “투자자, 고객, 종업원 가운데 누구 하나에게도 이익이 없다면 좋은 전략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로스앤젤레스=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