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원가 100mL당 99.2원
페리에 654원…6배 비싸
국산제품도 300~500원선
원재료 정제수·탄산가스
"생수값 2~3배일 이유 없어"
업계 "고급 마케팅 불가피"
[ 노정동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1096331_01.11664249.1.jpg)
국내 탄산수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제조원가보다 과도하게 비싼 탄산수 가격 거품 논란이 일고 있다. 탄산수의 원재료는 대부분 정제수와 탄산가스로 특별할 것이 없는 데다 영양성분이 거의 함유돼 있지 않아 일반 생수보다 가격이 크게 비쌀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싼 가격 탓에 집에서 탄산수를 제조해 먹는 소비자도 늘고 있다.
◆3년간 네 배 성장한 탄산수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1096331_AA.11661581.1.jpg)
탄산수 가격은 일반 생수보다 훨씬 비싸다. 롯데칠성음료의 일반 생수인 아이시스8.0(500mL)이 편의점에서 850원에 판매되는 데 비해 탄산수 트레비는 똑같은 용량이 두 배 비싼 1600원에 팔리고 있다.
탄산수 제조업체들은 수원지와 제조공정이 일반 생수와 다르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차별화 전략에 따라 고급 용기를 쓰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간다고 한다. 하지만 제조원가보다 지나치게 비싸다는 불만도 나온다.
◆100mL당 수입원가 99.2원
![](http://img.hankyung.com/photo/201605/2016051096331_AA.11661602.1.jpg)
국내 탄산수 업체가 제조원가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마진을 얼마나 남기는지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해외에서 들여오는 탄산수 수입원가를 통해 일정 부분 추정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4년 탄산수는 6381t이 571만2145달러에 수입됐다. 당시 환율 최고가인 달러당 1115원을 적용하 ?100mL당 수입액을 계산해보면 탄산수 수입원가는 100mL당 평균 99.2원이다. 수입회사가 보통 100원이 좀 안 되게 들여온다는 얘기다. 여기에는 용기 가격이 포함돼 있다.
국내 업체들이 내놓은 탄산수의 100mL당 판매가를 환산해보면 트레비 320원, 씨그램(코카콜라) 371원, 디아망(하이트진로음료) 371원이다. 수입 탄산수의 100mL당 판매가는 훨씬 더 비싸다. 페리에(프랑스)는 654원, 바두아(프랑스)는 1212원이고, 이드록시다즈(프랑스)는 2200원이다. 제조원가는 수입원가(평균 99.2원)보다 낮기 때문에 국내 탄산수 업체들은 적어도 제조원가의 세 배 이상, 수입회사는 여섯 배 이상 비싼 가격에 판매가를 정하는 것이다.
탄산수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탄산수가 정제수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업체 간 맛의 차별성을 두기가 어렵다”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려는 마케팅을 펼치다보니 가격이 비싸게 책정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탄산수 제조 셀프족 늘어
비싼 가격 탓에 가정에서 직접 탄산수를 제조해 먹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전자상거래업체 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가정용 탄산수제조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2014년 138% 성장한 데 이어 다시 한번 두 자릿수 성장률을 나타냈다. 옥션 관계자는 “탄산수를 사먹는 것보다 가격이 싸고 탄산 양을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어 인기”라고 말했다.
노정동 기자 dong2@hankyung.com
50% 이상 상승할 堧?좋?+ 급등주 비밀패턴 공개 /3일 무료체험/ 지금 확인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