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3일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의결한 'K-ICT(정보통신기술) 평창 동계올림픽 실현전략'에 따르면 평창 올림픽은 이처럼 AI와 가상현실(VR) 등 유망 기술의 전시장이 된다.
이 전략에서 정부는 애초 평창 올림픽에서 집중적으로 선보이기로 한 3대 기술인 5G(5세대이동통신)·IoT(사물인터넷)·UHD(초고화질방송)에다 최근 국내 IT 업계의 '핫 아이템'으로 부상한 AI와 VR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평창 올림픽에서는 AI 기반 실시간 자동 통번역기가 도입돼 영어·중국어·프랑스어·독일어 등 7개 국어를 서비스한다.
인간 상담원 대신 기계가 사람의 말을 이해해 경기정보 안내·길 찾기·각종 민원을 해주는 'AI 콜센터 안내 도우미'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AI 기술의 집결체인 자율주행차를 경기장 셔틀 등으로 이용하고 스키점프와 스노보드 등 올림픽 주요 종목을 VR 체험장치(시뮬레이터)로 즐긴다.
경기 상황을 고화질 360도 VR 카메라로 촬영해 5G망으로 실시간 중계하는 이벤트도 열린다.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정보 보안의 범위를 교통·의료·스마트홈 등 현실 영역으로 대거 넓힌 'K-ICT 융합보안 발전 전략'도 확정했다.
ICT가 사회기반시설과 각종 사물에 대거 적용되면서 해커들이 자동차의 전자 브레이크를 조작하고 환자 체내의 자동 약물 펌프를 망가뜨리는 등 새로운 위협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교통·의료 등 주요 ICT 융합산업에 보안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산업별 인증제도에도 ICT 보안 기준을 넣기로 했다.
업계가 융합보안 기술에 대폭 투자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보안 투자지수'를 마련하고, 중소업체를 위해 보안컨설팅·제품 테스트 등을 해주는 지원센터인 '융합보안 허브'와 지역별 융합보안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한국이 세계적으로 앞선 분야 중 하나로 꼽히는 '전자정부'도 맞춤형 서비스 기능이 추가되는 등 업그레이드가 이뤄진다.
정보통신전략위원회가 확정한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을 보면 정부는 앞으로 5년 내로 연령·직업 등에 최적화된 행정 서비스를 자동 제공하고 국민이 초기 정책 형성 과정부터 디지털 기술로 의견을 제시하는 길을 마련한다.
민원24·홈택스 등 정부 웹사이트를 스마트폰만으로 이용하는 '모바일 온리' 정책이 추진되고 AI·3D 프린팅·무인항공기(드론)·소셜미디어 등을 토대로 새 공공 서비스를 내놔 신산업 수요를 늘린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50% 이상 상승할 新유망주 + 급등주 비밀패턴 공개 /3일 무료체험/ 지금 확인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