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주채권은행은 유동성이 우려되는 대출 기업에 자구안을 요구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대우조선의 대주주이면서 삼성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이다. 경쟁사 대주주가 다른 경쟁사를 압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해 상충의 문제가 있다. 한쪽에 유리한 결정이 다른 쪽에 손실이 될 수도 있다. 산업은행이 자기 손실 최소화 쪽으로 기울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대우조선 구조조정도 괜한 의심을 살 수 있다.
조선업종 문제의 본질은 대우조선 사태다. 대우조선은 2000년 이후 정부로부터 5조3000억원을 지원받고도 지난해 5조원의 손실, 2조원대 분식회계에다 부채비율이 7300%(작년 말)에 이른다. 구제금융을 무기로 낙하산 경영진이 실적 부풀리기 헐값 수주를 주도해 동반 부실을 유발했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막기 어렵게 한 장 뼈括?대주주인 산업은행이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수주절벽’에 직면해 있긴 해도 아직은 부채비율이 낮은 편이고 구제금융을 받지도 않았다. 해법이 같을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대우조선 측은 ‘조선 빅3’가 생산능력을 일률적으로 30%씩 감축하자는 부적절한 주장을 펴고 있다. 게다가 제1야당 대표가 오늘 거제를 방문해 무슨 얘기를 할지 모른다. 원칙이 허물어진 구조조정으론 조선산업의 정상화를 기대할 수 없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구조조정에서 손 떼고 구조조정 전문 조직에 넘기는 것이 맞을 것이다. 아무리 급해도 지켜야 할 게 있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