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한결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6/2016060905751_AA.11807506.1.jpg)
30여년간 양봉하며 벌을 연구한 마크 윈스턴은 《사라진 벌들의 경고》에서 ‘벌 실종 사건’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고 경고한다. 지난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은 꿀벌 등 꽃가루 매개 곤충이 사라지면 매년 142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꿀벌은 식량 작물 번식의 약 75%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저자는 벌이 사라진 원인을 농산업에서 찾는다. 양봉의 규모가 커지면서 독성물질이 든 농약을 많이 사용한 결과라는 것이다. 그는 “벌을 알면 인간이 보인다”며 정교한 벌 사회의 모습을 돌아보고, 도시 양봉과 생태계 서비스 등 미래 상생 해법을 제시한다. (마크 윈스턴 지음, 전광철·권영신 옮김, 홍익출판사, 304쪽, 1만4800원)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급등주 싹쓸이! 인공지능 로봇이 추천하는 6월 상승 1순위는?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