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사들 간에 현장 경험 공유 필요
효율적 대책으로 회계투명성 높여야
이만우 < 고려대 교수·경영학 >
대우조선 사태의 절정은 해양플랜트 회계 미스터리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막대한 손실을 계상하고 경영진을 갈아치운 2014년에도 대우조선은 순이익을 공표했다. 법인세도 납부하고 283억원에 이르는 현금배당도 풀었다. 그러나 몇 달 못 가 외부감사인 요구에 따라 자본잠식을 토설하는 수정판을 내놨다. 지난주 검찰은 대우조선뿐만 아니라 주채권은행이자 대주주인 산업은행과 안진회계법인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해양플랜트 회계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1차 연도 말에 5조원의 현금을 출자해 설립한 A조선이 2차 연도에 공사기간 3년, 추정공사비 30조원의 공사를 계약금액 42조원에 수주했다고 가정하자. 2차 연도에 10조원의 공사비가 투입되면 예상이익 4조원을 합쳐 14조원의 공사미수금을 계상한다. 이익 4조원에 대해 법인세와 현금배당을 1조원씩 지급하면 이익잉여금은 2조원 남는다.
대금을 완공 후 받는 조건이라면 보유 현금 5조원을 먼저 쓰고 법인세와 배당까지 7조원을 차입해야 한다. 3차 연도에 10조원의 공사비가 또 투입되면 12조원을 더 빌려 차입금은 19조원이 되고 공사미수금과 이익잉여금도 두 배로 늘어난다.
3차 연도에 총공사비 추정치가 당초의 30조원에서 50조원으로 늘어난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현대와 삼성은 대규모 손실을 계상했다. 그러나 대우조선은 이를 무시했다가 외부감사인 요구에 따라 뒤늦게 수정했다. 공사비 30조원을 추가로 투입해야 대금 42조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사미수금 가치는 28조원에서 대폭 감액된 12조원이 된다. 완공해 봤자 8조원 손실인 공사에 대해 2년 동안 법인세와 현금배당 4조원을 부적절하게 지출해 결손이 12조원으로 확대됐다. 3차 연도 추정손실을 당초부터 적정히 계상했다면 법인세 납부 의무도 없고 배당도 불가능해 결손은 10조원으로 끝난다.
현대와 삼성이 부실을 인지한 시점에 대우조선 사정도 비슷했을 터인데 정말 아무도 몰랐을까. 몰랐다면 엉망인 공정관리를 방치한 임직원의 배임이다. 담당자가 윗선에 보고했지만 누군가 깔아뭉갰을 가능성에 대해 검찰이 수사해야 한다.
회계법인 책임도 복잡하다. 감사 대상 회사가 자료를 숨기거나 조작한 경우에도 감사인은 정규감사 절차를 통해 최대한 찾아내야 한다. 부채를 누락시킨 경우라면 지급 이자와 대조하고 거래 은행에 확인해야 한다. 필자는 미국 유학을 떠나기 전 회계법인에 근무하면서 엄청난 규모의 증권회사 부정을 적발한 경험이 있다. 경리부장이 회사 주식을 팔아치우고 대금을 착복한 것이다. 주식 실물을 확인할 땐 다른 곳에서 빌려 채워 놓았다. 문제 된 주식의 배당수입이 누락된 사실을 계속 추적한 결과 그 주식이 이미 다른 사람 손에 넘어간 것을 확인했다.
대우조선 감사 실패는 과거 자료로 확인이 불가능한 미래 예측 사항이다. 남은 공정의 추가 비용 예측은 고도의 기술영역이어서 회사 협조 없이는 확인이 어렵다. 현대와 삼성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의 경험을 공유했다면 도움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는 감사상 지득한 정보의 비밀유지의무가 엄격하다. 현장 책임자에 대한 확인의무를 강화하고, 공인회계사회 중심으로 감사 현장 경험을 공유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반복되는 감사 실패에 대한 철저한 원인 규명과 효율적 대책을 통해 바닥으로 추락한 회계 투명성을 끌어올려야 한다.
이만우 < 고려대 교수·경영학 >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