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 협력을 뛰어넘어 단일시장을 향한 공동체를 만들자는 취지로 출발한 게 EU다. 하지만 그 이념은 이상적이었는지 몰라도 운영은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EU는 관료주의에 물들어갔고 회원국들을 과도한 규제로 옭아맸다.
EU는 EU의회가 작성한 지침서를 각 회원국에서 국내법으로 만들도록 했다. 현재 EU 회원국들은 입법의 80%를 브뤼셀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노동규제와 제품안전 기준 등 EU의 제도들은 세세하고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영국은 의회민주주의를 꽃피운 국가다. 국민이 직접 선거로 뽑은 사람들이 제도를 만들지 못하고 다른 국가 정치인들이 이를 대신한다면 이것은 민주주의의 근원을 흔드는 일로 여긴다. 이점에 영국 사람들이 분노하고 있다.
더구나 행정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장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될 리도 없다. 이 같은 모순은 1990년대 후반부터 노동생산성 부문에서 EU가 미국보다 열악해지는 원인을 제공했다. 마이클 고브 영국 법무장관은 EU의 규제가 대규모 실업만 초래했으며 이민정책은 인신매매범과 난민들을 국경으로 불러들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물론 EU 잔류론자들은 금융위기에 버금가는 탈퇴 충격을 걱정하기도 한다. EU 각국 수출에 무관세 혜택이 없어지면 그만큼 경쟁력도 사라진다. 영국은 경쟁이나 자율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고수하고 있다. 영국인들의 불만은 이런 갈등 때문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