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상용 기자 ]
건국대가 지향하는 목표는 ‘기초가 강한 대학’이다. 탄탄한 전공 교육으로 이름난 독일식 대학 모델을 따르고 있다. 이런 변화의 중심엔 민상기 건국대 교학부총장(61·사진)이 서 있다. 지난달 480억원짜리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에 선정된 것도 바이오산업공학과 전공인 민 부총장이 단장을 맡은 게 주효했다. 지난 14일 건국대 중흥의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기초교육을 강조하는 배경이 궁금합니다.
“모든 대학이 똑같이 행동해서는 생존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학부가 강한 대학으로 건국대를 키우겠다는 게 학교 구성원들의 생각입니다. 기초가 탄탄한 교육을 해야 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요. 학부중심 대학으로 자리를 잡으면 외부에서 학교로 공부하러 오는 이들도 많아질 겁니다.”
▷학과 조정을 많이 하나요.
“자연계열에 속해 있던 학과가 공대로 옮기는 것을 포함해 이공계 정원이 총 533명 늘어납니다. 인문계에서 줄어드는 정원은 200여명입니다. 대학은 시대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학과를 운영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학과 간 벽이 너무 높습니다. 한 번 개설하면 정원이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6/2016061422271_AA.11836031.1.jpg)
▷기초교육을 강조하는 배경이 궁금합니다.
“모든 대학이 똑같이 행동해서는 생존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학부가 강한 대학으로 건국대를 키우겠다는 게 학교 구성원들의 생각입니다. 기초가 탄탄한 교육을 해야 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요. 학부중심 대학으로 자리를 잡으면 외부에서 학교로 공부하러 오는 이들도 많아질 겁니다.”
▷학과 조정을 많이 하나요.
“자연계열에 속해 있던 학과가 공대로 옮기는 것을 포함해 이공계 정원이 총 533명 늘어납니다. 인문계에서 줄어드는 정원은 200여명입니다. 대학은 시대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학과를 운영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학과 간 벽이 너무 높습니다. 한 번 개설하면 정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