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kyung.com/photo/201606/201606280318h_01.11916589.1.jpg)
경기도는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보장해 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버스증차 등의 관리권한은 도가 행사하는 공동관리형 버스 준공영제를 내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남경필 지사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준공영제 대상은 154개 노선 총 2083대의 광역버스이다.
남 지사는 28일 출입기자단 브리핑을 통해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많은 도민들이 여전히 서서 출퇴근을 하는 불편을 겪고있다”며 “이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도가 노선신설 등 버스의 종합적인 관리권한을 행사하는 준공영제를 도입 한다”고 밝혔다.
도는 2014년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 이후 300여대의 버스를 증차했다. 하지만 출퇴근 시 광역버스 이용 승객의 10%(8만여명)는 자리에 앉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는 버스 관리권한을 가지는 준공영제를 시행하면 승객 입석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남 지사는 "시·도간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특성상 더 이상 개별 시·군이 노선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어려워졌다"며 "광역버스부터 준공영제를 우선 도입해 출퇴근 입석 문제를 해결하고 일반버스는 시·군 차원의 계획이 마련되면 추후 방안을 검토 하겠다"고 덧붙였다.
도는 준공영제 시행을 위해 다음 달 시·군 및 버스업계 협의, 8월 시행안 확정, 11월 시행협약체결 등을 거쳐 내년 7월 시행에 들어갈 방침이다.
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연간 9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 예산은 시·군과 협의해 절반씩 부담할 계획이다. 소요 예산은 광역버스 충원기사 인건비로 쓰일 예정이다.
도의 한 관계자는 광역버스 1대당 기사수는 서울 2.6명, 인천 2.4명인데 반해 경기도는 1.6명으로 크게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도는 2교대 확대 등 기사의 처우개선을 위해 현재 3200명인 광역버스 기사를 1200명 충원한다는 계획이다.
남 지사는 이날 ‘굿모닝 버스’ 추진 방안도 발표했다. 광역버스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앉아서 갈 수 있는 좌석예약 서비스, 연차적으로 2층 버스 423대 확대, 정류장 최소화한 노선 30개 신설 등을 통해 2018년까지 광역버스 입석률 0%를 실현하기로 했다. 수원=윤상연기자 syyoon1111@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