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법안 152건 전수조사
대기업 이용해 실업 해결? 청년고용 의무화법 발의
특정기업 이름 붙인 '삼성생명법' 내놓기도
만16세 미만 입원비 무료 등 조 단위 재정 투입 법안도
[ 임현우/박종필 기자 ]![](http://img.hankyung.com/photo/201606/2016062937941_AA.11923251.1.jpg)
30일로 출범 한 달을 맞은 20대 국회에서 발의된 경제법안 네 건 중 한 건이 기업을 겨냥한 ‘규제 강화법’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신문이 20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5월30일부터 한 달 동안 제출된 의원발의 법안(476건) 중 경제, 복지, 재정 등과 관련한 152건을 전수조사한 결과 ‘기업·고용 규제 강화’ 법안이 40건(26.3%)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법안은 모두 야 3당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이어 ‘복지 확대’ 법안이 19건(12.5%), ‘지방 재정 확충’ 17건(11.2%), ‘창업·투자 활성화’와 ‘근로자 권익 강화’가 각각 14건(9.2%), ‘소비자 권익 강화’ 13건(8.5%), ‘주거 안정·임차인 보호’ 10건(6.6%) 등의 순이었다. 또 ‘조세 감면’ 9건(5.9%), ‘신산업 진흥’ 6건(3.9%), ‘
대기업 이용해 실업 해결? 청년고용 의무화법 발의
특정기업 이름 붙인 '삼성생명법' 내놓기도
만16세 미만 입원비 무료 등 조 단위 재정 투입 법안도
[ 임현우/박종필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6/2016062937941_AA.11923251.1.jpg)
30일로 출범 한 달을 맞은 20대 국회에서 발의된 경제법안 네 건 중 한 건이 기업을 겨냥한 ‘규제 강화법’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신문이 20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5월30일부터 한 달 동안 제출된 의원발의 법안(476건) 중 경제, 복지, 재정 등과 관련한 152건을 전수조사한 결과 ‘기업·고용 규제 강화’ 법안이 40건(26.3%)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법안은 모두 야 3당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이어 ‘복지 확대’ 법안이 19건(12.5%), ‘지방 재정 확충’ 17건(11.2%), ‘창업·투자 활성화’와 ‘근로자 권익 강화’가 각각 14건(9.2%), ‘소비자 권익 강화’ 13건(8.5%), ‘주거 안정·임차인 보호’ 10건(6.6%) 등의 순이었다. 또 ‘조세 감면’ 9건(5.9%), ‘신산업 진흥’ 6건(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