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현 증권부 기자) 코웨이의 얼음정수기 일부 모델에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니켈이 검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매일 마시는 물에 대한 관심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사실 요즘처럼 ‘물을 사먹는 시대’가 된 것은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NH투자증권이 5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 생수를 처음 판매하기 시작한 것은 1988년이었습니다. 서울 올림픽에 참가하는 외국 선수들을 위해 생수를 제조하고 판매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올림픽이 끝난 후에 다시 생수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빈부격차에 따른 위화감 조성, 수돗물 정책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하네요. 이후 생수 생산업체들의 반발과 국민의 권리를 침해한다는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거쳐 1995년 ‘먹는물 관리법’이 제정되면서 생수가 다시 판매됐습니다. 이렇게 물을 사먹게 된 것이 불과 2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은 것입니다.
물 시장은 물을 만난 듯 급속도로 커졌습니다. 2000년대 1500억원 규모였던 국내 생수시장은 매년 10%가 넘는 빠른 속도로 성장했고 지난해 6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올해는 7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업계에서는 2020년엔 1조원 규모 시장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시장이 커지면서 생수 종류는 다양해지고 생산 업체도 늘고 있습니다. 미네랄워터라고 불리우는 ‘광천수’
물 시장은 물을 만난 듯 급속도로 커졌습니다. 2000년대 1500억원 규모였던 국내 생수시장은 매년 10%가 넘는 빠른 속도로 성장했고 지난해 6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올해는 7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업계에서는 2020년엔 1조원 규모 시장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시장이 커지면서 생수 종류는 다양해지고 생산 업체도 늘고 있습니다. 미네랄워터라고 불리우는 ‘광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