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하나된 한반도, 몽골에서 확인한 열망

입력 2016-07-18 18:20  

북한 핵·미사일 도발 규탄한 아셈
통일에 대한 우리 입장 지지한 몽골
유라시아 평화, 통일한국 앞당길 것

윤병세 < 외교부 장관 >



지난주 몽골에서 열린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는 창설 20주년이란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유럽과 국제질서 향배에 대한 불확실성, 필리핀과 중국 간 남중국해 분쟁의 중재재판 결과에 따른 갈등에 더해 프랑스 니스 테러와 터키 쿠데타까지 발생했기 때문이다.

전체 51개 회원국과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및 EU를 대표하는 여섯 명의 정상급 선도발언자 중 첫 번째로 발언한 박근혜 대통령은 전 세계 인구와 국내총생산(GDP), 교역의 약 60%를 차지하는 최대의 지역 간 협의체 ASEM이 자유무역, 포용적 성장, 창조·혁신 강화를 위한 추동력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초국경적 테러와 폭력적 극단주의, 난민, 전염병, 기후변화 같은 글로벌 도전을 극복하고 유라시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이란 꿈을 이루기 위해 힘을 모으자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점증하는 보호무역주의 추세 속에서 지난 11년간 열리지 못한 ASEM 경제장관회의를 내년에 한국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해 환영받았다. 유라시아의 연계성 증진에서 가장 큰 단절고리인 북한과 북핵문제에 대한 근본 해결책은 한반도 통일이라고 강조해 공감을 얻었다.

주목되는 것은 지난 4월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CICA) 외교장관회의, 5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이어 이번 ASEM 정상회의에서도 의장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도 높게 규탄한 것을 비롯 ASEM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한반도 문안을 채택했다는 것이다. 중국, 러시아 정상이 참석한 다자회의에서 북핵 및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강력하고 일관된 대북 경고메시지가 나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박 대통령은 ASEM 정상회의 직후 몽골을 공식방문했다. 두 나라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경제동반자협정’ 공동연구를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또 자원·인프라건설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에너지 신기술, 친환경 에너지타운, 원격의료 등으로 협력의 지평을 확대하기로 했다. 총 11개의 정부 간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방문은 양국 문화 교류 활성화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됐다. 몽골에 4만여명의 한류팬이 있고, 300만 인구 중 10%가 방한 경험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몽골에 설치될 ‘코리아 코너’는 한국 문화에 대한 복합 홍보관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년 전 외교장관 회담 참석차 몽골을 방문한 필자는 울란바토르의 발전된 모습을 보면서 갈수록 깊은 고립의 늪에 빠져드는 북한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13년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외국 정상으로서는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한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은 김일성대 강연에서 “어떤 독재도 영원할 수 없다”고 일침을 놓은 바 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단일국가 비핵(非核) 지위를 인정받고 있는 몽골은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통일에 대한 우리 의견을 확고히 지지했다. 칭기즈칸의 혼이 살아 있고, 지난해 ‘유라시아 친선특급’의 남선(南線) 경유지이기도 했던 몽골의 초원에서 필자는 ‘하나 된 평화의 대륙 유라시아’와 ‘하나 된 한반도’에 대한 열망을 더욱 키울 수 있었다.

윤병세 < 외교부 장관 >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