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이란 중앙 및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 등 일반정부 5163개와 공기업(금융+비금융) 187개를 합친 ‘광의의 정부’를 가리킨다. 공공부문이 흑자든, 적자든 지나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잉 적자는 국민 부담으로 귀착되고, 과잉 흑자는 민간부문에 구축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구조적 저성장에 허덕이는 마당에 공공부문 흑자가 GDP 대비 2.2%(전년 1.2%)에 달하는 것은 분명 과잉이다. 정부가 빨대처럼 민간 자원을 걷어들이니 금리인하, 추경 등 경기진작책을 펴도 효과가 안 난다.
정부는 출범 초부터 ‘증세는 없다’고 강조해왔지만 명목세율 인상만 없었을 뿐, 실상은 증세나 다름없는 결과가 빚어지고 있다. 비과세·감면 축소, 담뱃값 인상, 전기요금 조정 등으로 세금과 준조세 부담은 확대일로다. 해마다 수십조원씩 쓸어가는 국민연금은 물론 건강보험까지 5년째 흑자다. 흑자 누적액은 17조원에 이른다. 이렇게 정부가 다 빨아들이면 기업 가계 등 민간부문의 위축을 피할 길이 없다.
올해도 공공부문은 여전히 호조다. 지난 1~5월 세수가 전년 동기보다 19조원 늘었고 세수 진도율(50.6%)은 7.2%포인트 상승했다. 이런데도 법인세 인상 등 ‘부자 증세’를 압박하는 야권은 경제의 큰 그림에는 깜깜한 ‘고도근시’나 다름없다. 공공부문이 호조일수록 경제활력은 꺼져만 간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