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가 폭넓게 우대 필요"
[ 조미현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8/2016081543161_AA.12191052.1.jpg)
대원제약은 동아에스티의 위염 치료제 스티렌을 개량한 오티렌에프를 선보였다.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기능을 더해 복용 횟수를 하루 3회에서 2회로 줄였다. 지난해 9월 출시된 오티렌에프는 올 상반기에 매출 70억원을 기록했다. 단일 제품으로는 가장 많이 팔렸다. 대원제약은 오티렌에프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7% 늘어난 1197억원이었다.
유나이티드제약은 소화불량 치료제 가스티인CR을 출시했다. 가스티인CR은 하루 세 번 복용해야 하는 기존 치료제와 달리 하루 한 번만 복용하면 된다. 이 회사는 2010년 첫 개량신약 클란자CR(소염진통제)을 내놓은 뒤 2년 간격으로 개량신약을 선보이고 있다.
강덕영 유나이티드제약 사장은 “내년에 가스티인CR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게 목표”라며 “20% 수준인 개량신약 매출 비중을 30%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게보린 등 일반의약품과 복제약에 집중하던 삼진제약도 안구 건조증 개량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임상시험에 착수했다.
개량신약은 신약에 비해 임상기간이 짧고,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궁극적으로 신약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런 이유로 복용 방법과 복용량을 개선한 개량신약에 대해서도 약가를 우대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가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한 46개 제약사는 약가 우대를 받는다.
하지만 일반 복제약과 개량신약 중에서도 두 가지 이상 성분을 합친 복합제에 대해서만 약가를 더 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제약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원을 약속한 만큼 개량신약에 대해 보다 폭넓게 혁신성을 인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