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 높아지면 수익률 하락…투자매력 떨어져
[ 문혜정 기자 ] 정부의 ‘8·25 가계부채 대책’ 영향으로 상가, 빌딩 등 수익형 부동산 투자시장이 당분간 냉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대책에서 주택 대출뿐만 아니라 비(非)주거, 비(非)은행권 담보대출 요건도 모두 강화됐기 때문이다. 월세를 받는 수익형 부동산 투자자는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택보다 많은 대출을 받는 게 일반적이다.
2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당분간 수익형 부동산을 매입하려는 투자 수요층의 자금 동원력이 줄어들면서 분양 및 매매시장도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번 대책에선 상호금융 등의 비주택담보대출 담보인정한도가 종전 50~80%에서 40~70%로 축소됐다. 매입하려는 부동산 평가액(혹은 거래가액)을 담보로 금융회사가 빌려줄 수 있는 액수가 그만큼 줄어든다.
대출자의 신용등급이나 담보물의 특성 등을 감안해 최대 10%포인트까지 더 얹어주던 가산 한도도 5%포인트로 낮아졌다.
소규모 빌딩을 중개하는 원빌딩부동산의 오동협 영업총괄 전무는 “제1금융권에서도 임대사업자에 대한 대출 한도를 줄이고 금리는 올리는 분위기”라며 “상가나 빌딩을 매입해 임대업을 하려는 투자자에게 적용되는 금리가 작년 말 연 2.6~2.7%에서 최근 3%대 초반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거래 가격의 70~80%를 대출로 조달하던 수익형 부동산 투자자들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오 전무는 “저금리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시중 유동자금이 부동산으로 쏠릴 가능성이 높지만 당분간 수억원 이상 투자해야 하는 수익형 시장은 분위기가 가라앉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및 고가 주택 시황에 따라 수익형 부동산도 ‘동조 현상’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수익형 부동산에 관심을 기울이는 주요 수요층 중 다주택자나 소득 상위계층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작년부터 서울 및 수도권 일부 지역 집값이 많이 오르면서 다주택자가 고점에 다다른 아파트 한두 채를 판 뒤 종잣돈을 만들어 수익형 상품으로 갈아타는 경우가 꽤 있었다”며 “아파트 거래가 위축되면 단기적으로 수익형 시장도 비슷한 양상을 띨 것”이라고 말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