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본 서울 상권
[ 강진규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09/2016092316321_AA.12578062.1.jpg)
샤로수길의 인기는 이름을 따온 가로수길을 넘어설 정도다. 23일 한국경제신문과 SK플래닛이 시럽월렛과 OK캐쉬백 앱(응용프로그램) 이용자 중 위치기반 서비스에 동의한 사람의 데이터를 처음 활용해 서울지역 13개 주요 상권의 유동인구를 추정한 결과다.
이달 1~21일(추석 연휴 주간 제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샤로수길의 ㎢당 유동인구는 16만6701명으로 추정됐다. 15만204명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난 가로수길보다 많다. 박원순 중앙대 겸임교수는 “일본 가정식 식당과 수제버거 전문점 등 트렌드에 맞는 맛집이 샤로수길에 잇달아 문을 열면서 서울대입구역 일대가 주요 상권으로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성별로도 주요 상권 선호도가 牝駭? 여성들은 홍익대 주변과 신촌, 대학로를 선호했다. 이 지역의 여성 비중은 56~58%였다. 종로와 명동 상권은 남성 비중이 52%로 여성보다 높았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