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혜정 기자 ] 경북 경주에서 규모 5.8 지진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지진에 취약한 댐·교량·공공건축물, 싱크홀(지반침하)을 유발하는 상하수도 등 노후 사회간접자본(SOC)을 시급히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제때 보수하지 않으면 나중에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예산과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는 만큼 노후 인프라에 대한 체계적인 투자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9/2016092543091_AA.12588474.1.jpg)
전문가들은 지난 2월 서울 내부순환로 정릉천고가의 구조물 파손 사태나 빈번하게 발생하는 서울의 지반침하가 모두 낡은 인프라 탓이라고 지적했다. 서울 하수관로의 48.3%(2015년 6월 기준)는 준공된 지 30년 이상돼 물이 줄줄 샌다. 경주 지진으로 한국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이 드러났지만 전국 학교 시설의 약 23%에만 내진설계가 적용됐다. 공공건축물 철도 등 대부분의 시설에서 내진 보강이 절실하다. 왕세종 건산연 연구위원은 “50년 이상 된 시설물도 댐이 180개, 교량이 135개, 하천시설이 119개”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에선 노후 인프라의 성능 개선과 적정 수준의 유지·보수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지난 20일 대한건설협회(서울지회), 건산연 등이 연 ‘안전하고 스마트한 도시 구축을 위한 노후 인프라 성능개선’ 토론회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는 여실히 드러났다.
정내삼 대한건설협회 부회장은 “노후 인프라에 투자하자고 하면 일부에선 건설업계의 ‘먹거리’로만 치부하는 경향이 있다”며 “노후 인프라 개선은 국민 안전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투자”라고 강조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09/2016092543091_AA.12588473.1.jpg)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