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분야에서는 규격 표준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물론 통신이나 센서의 규격까지 표준이 필요한 것이 IoT다. 수많은 표준 기구들이 워낙 다양한 표준을 우후죽순처럼 쏟아내고 있고 기업도 여러 진영으로 나뉘어 협력과 경쟁을 하면서 치열한 ‘표준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제 일본 정부가 기업과 연계해 IoT 표준화 전선에 뛰어들기로 한 것이다.
이뿐 아니다. 엊그제 일본 나가노현에서 열린 G7 교통관계장관회의에선 자율주행차의 사이버 공격을 막는 공동 지침을 만드는 데 합의했으며 자율주행차 안전 기준을 작성하는 데도 서로 노력하기로 했다. 공동선언에는 “자동운전기술의 조기 실용화에 서로 협력해 리더십을 발휘해간다”고 돼 있다. 이 회의 의장국은 물론 일 뼈甄? AI(인공지능)가 핵심인 자율주행차에서도 일본 정부의 노력이 두드러진다.
AI와 IoT에서 일본 정부의 추진력이 놀랄 만큼 적극적이다. 이미 아베 총리는 AI와 IoT 등 제4차 산업혁명을 지원하는 미래투자회의를 지난달 신설했다. 아베 총리가 직접 의장을 맡고 예산도 두둑이 준비했다.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인 성장전략을 4차 산업혁명의 리더로 해석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IoT 표준화 정책을 펴고 있지만 일본만큼 다급하지는 않은 모양이다. 외국 정부나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는 소식을 들은 적도 없다. IT에선 앞서갔는지 몰라도 IoT 후진국은 시간문제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