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까지 임기 만료되는 금융기관장 자리만도 10개 안팎이다. 문제는 세월호 ‘관피아’ 논란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낙하산 봉인이 최근 들어 해제된 듯한 상황이란 점이다. 정피아와 관피아들은 한껏 바빠지게 생겼다. 우리는 낙하산 자체를 전면 부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내부 승진 등의 순혈주의가 안고 있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낙하산 문제는 더구나 정당제 민주주의의 불가피한 비용이라는 측면도 안고 있다. 정당은 그곳에 속한 정치운동가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이 엽관(獵官)제도를 운영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정권과 수명을 같이 ?자리라면 정권의 철학을 공유하는 인사가 가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돌아보면 역대 정권의 낙하산도 그 나름의 이유는 있었다.
낙하산도 낙하산 나름이다. 직위에 상응하는 능력이 있는지, 또 해당 인사의 보임이 조직에 어떤 영향을 줄지 두루 살펴볼 수밖에 없다. 현 전 수석의 경우 4·13 총선 패배의 빌미를 제공했고, 노동개혁을 이 모양 이 꼴로 만든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더구나 은행에 들어와 은행 일보다 노조운동 하면 행장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소위 ‘역설적 교훈의 인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참 인사가 이상하게 돌아간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