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에 오른 세부 아젠다나 제안은 모두 도전해볼 만한 과제들이다. 제조업을 넘어 자원개발과 인프라건설까지 제3국으로 공동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부터가 그렇다. 하나라도 성공사례가 나온다면 그 의미는 작지 않을 것이다. 4월 구마모토 지진과 지난달 경주 지진을 염두에 둔 방재 부문의 경험공유와 협력강화도 서로의 이익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당장은 한국이 좀 더 아쉬운 분야일지 모르겠지만, 양국 기업들이 동아시아의 제품 공급망 등 ‘밸류 체인’에 연결돼 있어 리스크관리 방안이 될 만하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의 상호 지원 역시 경제협력 차원 이상의 성과를 낼 것이다.
물론 한국에서 보면 협력과 관계개선에 일본이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도 충분히 할 만하다. 세계 여느 시장과 달리 한국산 스마트폰과 자동차 등의 일본시장 진입이 제한적인 게 어떤 배경이나 문화에서 비롯된 현상인가 하는 의문도 그런 것이다. 국제 매물로 나왔던 샤프, 도시바 가전부문 등의 인수전에서 한국 기업은 배제됐던 게 일본 정부의 의지가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설도 파다했다. 일본 쪽에서 전향적으로 풀어야 할 부분이 더 많다는 얘기다.
어디서든 정치 배제가 기본 전제다. 정치적 포퓰리즘이 양국 간 경제협력과 미래지향에 최대 걸림돌인 것은 한국에서든 일본에서든 공통 사실이다. 경제협력 기반을 더욱 탄탄히 하면 정치적 협력도 뒤따르게 된다. 무역과 경제협력을 넓혀나가는 게 영구적인 국제평화의 길이라는 것은 200년 전 칸트 때부터 확인된 진리다. 한·일이 함께 나아가야 할 길이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