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거지’로 불리는 이들은 신제품을 홍보하고 싶어하는 패션 및 뷰티업체에 연락해 “제품 리뷰 글을 잘 써줄테니 제품을 보내라”고 대놓고 요구하고 있다. 한 패션업체 홍보팀 관계자는 “누가 들어도 알만한 유명 파워블로거들에게는 예전부터 신제품을 협찬해왔지만 김영란법 시행 이후 협찬을 요구하는 블로거들이 2~3배 늘었다”고 말했다. 평소 20여명의 파워블로거들에게 제품을 협찬하고 있다는 한 신발회사 관계자는 “블로거 협찬이 곧 매출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제품이름을 검색했을 때 우리 제품 후기 글이 타사 제품보다 더 많이 노출돼야 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협찬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블로거지’의 등장과 함께 파급력 높은 커뮤니티의 ‘언론화’ 현상도 김영란법 시행 후 달라진 모습으로 꼽힌다. 패션에 관심이 높은 20~30대 남성 湧?많이 가입한 A카페는 네이버에서만 73만여명이 가입한 유명 카페다. 이 커뮤니티는 ‘패션피쳐’라는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각 패션 브랜드에서 내놓은 신제품을 운영자들 또는 ‘기자’로 고용된 일반인들이 입어보고 후기를 피쳐기사 형태로 올리는 게시판이다. 신제품을 입고 싶은 이유를 올리면 추첨을 통해 해당 제품을 주는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모두 기업에서 홍보를 대가로 현금과 제품 등을 협찬해 이뤄지는 형태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브랜드마다 다르겠지만 A 카페는 피쳐 글 하나 부탁하면 보통 500만원 가량 주고 제품도 협찬할 정도로 파급력이 높은 커뮤니티”라며 “불법은 아니지만 일반인들이 운영하는 커뮤니티가 내부적으로 기자 직함을 단 리뷰 담당자를 고용하고 협찬금액을 높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A 카페가 올린 게시글 하단에는 ‘본 콘텐츠는 위 해당 브랜드 혹은 대행사에서 수수료를 지급받고 A가 직접 촬영, 편집, 작성한 게시글입니다’, ‘본 이벤트는 해당브랜드 홍보에 따른 매체수수료와 상업적인 내용을 포함한 이벤트입니다. 후기작성의 대가로 경제적 이해관계가 제공되었다는 문구가 자동삽입되어 있습니다.’ 등의 글이 달려있다.
293만여명의 네이버 이용자들이 가입한 B 카페에서도 다양한 유료 후기 및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로 여성들이 많기 때문에 화장품 체험이벤트를 자주 연다. ‘본 이벤트, 체험단은 위 내용의 회사 또는 대행사로부터 제공되는 홍보, 상업적 내용, 매체수수료를 포함합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용자들은 “제품을 무료로 써볼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있어 유용하다”, “경제적 대가를 받고 올린 글이라 하더라도 자세한 신제품 리뷰를 볼 수 있어 정보 제공 측면에서 유익하다”는 등의 반응을 내놓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