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이후 미국의 연평균 성장률은 2.1%다. 경기확장기 성장률치고는 2차 대전 후 가장 낮다. 그럼에도 글로벌 금융위기 후 경기가 호조를 보여온 유일한 선진국이 미국이다. 그런 미국이 머지않아 경기침체를 겪을 것이라는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의 경기침체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이어진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이들이 차기 미국 대통령 누구도 경기후퇴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한 부분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클린턴은 공화당이 다수인 의회와 사사건건 부딪칠 것이고 자유무역과 이민을 莩淪求?트럼프는 리스크만 더 키울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미국에 이어 2위 경제대국이자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의 수출이 계속 줄어드는 것도 그렇게 좋은 신호로 읽히지는 않는다. 중국의 9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0% 또 줄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8월(-2.8%)에 비해 감소폭이 훨씬 커졌고 당초 예상보다 악화된 것이다. 특히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주요 수출 상대국에 대한 수출이 일제히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중국 내 부채 증가, 투자 부진, 공급 과잉 등의 이유도 있지만 글로벌 수요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국의 경기둔화와 중국의 수출 감소는 맞물려 있다. 이코노미스트들 예상대로 미국의 경기침체가 조만간 본격 시작되면 중국의 수출은 더욱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다. 문제는 이런 사이클에서 정작 가장 큰 충격을 받는 것은 한국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중국의 최대 수입국은 한국이다. 지난해 중국은 1700억달러가 넘는 원·부자재와 소재 및 중간재를 한국에서 수입했다. 이렇게 수입한 부품, 중간재 등을 가공해 다른 나라에 수출하는 게 중국의 무역구조다. 대중(對中) 수출의 거의 75%는 이렇게 재수출된다.
미국 경기침체는 중국과 한국의 연쇄적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수출의존도가 높고 특히 대중 수출의존도가 26%에 달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그렇지 않아도 활력을 잃어가는 우리 경제에 적잖은 쇼크로 다가올 가능성도 있다. 어쩌면 외환위기 후 가장 큰 시련이 다가오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 정부나 국회가 이런 가능성에 얼마나 대비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