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에 따르면 앞으로 몇달 정도는 그간의 ‘구조조정 코스프레’로 연명해갈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년 4월부터 11월까지 9400억원의 회사채가 돌아온다. 그 전에 돈되는 자산을 매각하고, 인력도 감축하면서, 완공 시추선까지 발주처에 다 넘겨야 한다. 지난해 ‘서별관회의’를 통해 산업은행은 108억달러 수주를 전제로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시장위축으로 지난 6월 이 목표는 62억달러로 반토막났다. 하지만 지금은 줄이고 줄인 수주목표 35억달러도 어렵다고 한다. 자산매각이나 인력감축까지 뜻대로 안 되고 있다.
한마디로 나갈 돈은 더 늘어나고 들어올 돈은 줄어들었다. 회사 측은 4조2000억원 중 미집행분 1조원에 내심 기대를 걸 수도 있겠지만 이 와중에도 노조는 파업카드를 들고 있다. 어림도 없다. 생산설비든 인력이든 각오와 용기가 없이는 감축이 불가능하다. 회사는 최근 2조원 규모의 유동성 확보 비상계획을 세웠다고는 하지만 정부가 이 계획만 바라보며 시간을 낭비할 수는 없다. 대우조선 살리느라 애먼 한진해운만 먼저 법정관리로 밀려갔는지도 모르겠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대우조선 자구계획 진도를 주 1회 이상 체크하고 있다”(10월10일 기자간담회)고 말했지만 무언가 한가해 보인다. 오히려 문제는 대우조선을 넘어 산업은행으로 번져나가고 있다. 정부는 산업은행의 짐을 덜기 위해 수출입은행을 통해 대우조선에 증자하는 방안을 독려하고 있지만 수출입은행인들 밑 빠진 독에 계속 물을 부을 수는 없을 것이다. 조선산업이 위기로 몰린 데는 대우조선을 국영화하고 어설프게 재벌 흉내를 낸 산업은행의 오류가 가장 컸다. 정공법인 공적자금 방안을 기피하는 것은 국회에 불려가는 게 싫어서인가.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