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차 이상 '드라이버' 모집…고급화로 경쟁업체와 차별화
매칭확률 높고 택시보다 저렴…강남 이어 부산 지역도 진출
[ 임원기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842831_AA.12699956.1.jpg)
지난 8월1일 경기 성남과 용인, 안양 등지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럭시는 1주일 만에 카풀 3000건을 넘어섰다. 석 달 먼저 시작한 경쟁사 풀러스가 누적 카풀 3000건을 달성하는 데 한 달 넘게 걸린 것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다. 10월 들어선 하루 카풀 건수가 4000건을 넘어서 월간 실적이 10만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출시 후 두 달 남짓한 기간에 회원이 10만명을 넘었다.
![](http://img.hankyung.com/photo/201610/2016101842831_AA.12700382.1.jpg)
올 8월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 이미 풀러스라는 서비스가 있었지만 길 대표는 개의치 않았다. 웨딩카 대여사업을 하면서 구축한 다수의 고급차 운전자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얼마든지 차별화할 수 있다는 판단이었다. 서비스 초기부터 수입차, 배기량 3000㏄ 이상 등 고급화 전략에 초점을 맞췄다. 앱을 내려받으면 2만원의 쿠폰을 증정, 2회 정도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카풀 성공률이 높고 요금이 저렴하다는 소문이 나면서 이용자가 급증했다. 카풀 서비스 1회 평균 요금은 1만원. 택시비보다 30%가량 저렴하고, 운전자는 어차피 빈 차로 가는 것보다 돈을 벌 수 있으니 사용자가 몰리고 있다는 게 회사 측 분석이다.
럭시는 차량을 공유한다는 측면에서는 우버와 비슷하지만 법적인 문제가 없다는 게 차이점이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은 자가승용차량의 유상운송을 금지하고 있으나 출퇴근 시 차량 공유(카풀)는 허용(81조)하고 있다. 럭시는 카풀 운전자가 출퇴근 시에만 카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전업으로 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루 최대 카풀 제공 횟수를 3회로 제한했다. 택시 獰汰湄欲珦?분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