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안 완료시기 앞당길 듯
[ 안대규 / 이지훈 기자 ] 대우조선해양의 자산 매각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지원도 윤곽을 드러내면서 ‘독자생존’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자력 생존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한 글로벌컨설팅업체 맥킨지의 보고서와 달리 정부는 ‘대우조선해양 살리기’에 초점을 두고 오는 31일 조선업 구조조정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 설계 자회사 디섹의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를 25일 선정할 예정이다. 예상 매각 가격은 1000억원 미만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조만간 서울 다동 사옥을 캡스톤자산운용에 1700억원을 받고 매각하기 위한 본계약도 체결할 예정이다. 다음달 4일엔 급식위탁 자회사 웰리브에 대한 매각 본입찰도 열린다. 대우조선은 지난 6월 5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발표하면서 자회사 14곳을 매각해 3416억원을 마련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우조선은 연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2조8000억~2조9000억원 이상의 자본확충을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대우조선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3조원에는 못 미치는 수준에서 출자전환과 유상증자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도 이를 위해 기존 2020년까지 이행하기로 했던 자구안 완료 시기를 대폭 앞당기기로 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현재 1만2699명인 직원 수를 연내 3000여명가량 감축해 1만명 이내로 줄일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이 갚아야 할 채무를 주식으로 바꾸는 출자전환이 마무리되면 대우조선은 부채비율이 낮아져 해외 수주 영업의 걸림돌로 작용하던 재무건전성에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안대규/이지훈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한 경 스 탁 론 1 6 4 4 - 0 9 4 0]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