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한국, 고민 덜었다"…중국 주도 RCEP 관심 커져
[ 이태훈 기자 ] 미국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추진과 관련해 폐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 정부의 통상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미국과 일본 주도의 TPP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온 통상당국은 TPP 폐기에 따른 이해득실을 계산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은 그동안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중심으로 통상정책을 펴 왔다. 2014년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TPP 논의가 급물살을 탈 때도 TPP 참여보다는 한·중 FTA 등 개별 국가와의 협상에 힘썼다. 이 때문에 “메가 FTA(다자간 FTA)라는 시대 흐름에 한국만 뒤처지고 있다”는 비판이 있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공약대로 미국이 TPP 폐기 절차에 들어가면 한국으로선 커다란 고민을 덜 수 있다.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TPP가 다시 추진되더라도 한국으로선 전략을 짤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본이 ‘TPP 되살리기’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만 ?TPP의 완전 폐기를 단정짓기는 섣부르다는 시각도 있다. 일각에선 미국이 TPP 폐기보다는 자국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재협상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TPP가 폐기되더라도 한국엔 또 다른 ‘악재’가 남아 있다. TPP 폐기가 한·미 FTA 재협상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통상당국 관계자는 “발효가 안 된 TPP와 달리 한·미 FTA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은 발효 후 수년이 흘렀기 때문에 트럼프 당선자가 마음대로 폐기 수순을 밟진 못할 것”이라면서도 “미국에 유리하게 협정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TPP가 폐기되면 중국 주도의 다자간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주목을 받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한·중·일 3개국과 인도 호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등 16개국이 참여하는 RCEP는 그동안 TPP에 밀려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지 못했다. 일본이 중국에 높은 수준의 시장 개방을 요구하며 협상을 지연시킨 게 가장 큰 이유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TPP가 무산되면) 일본 정부가 RCEP 협상 타결에 나설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