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헌법에 명시된 직무는 해야"
잇단 인사단행·해외 순방 예고
조만간 대국민 메시지 내놓을 듯
[ 장진모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611/2016111895021_AA.12855039.1.jpg)
야당의 퇴진 요구를 거부한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 챙기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박 대통령은 18일 청와대에서 신임 대사와 장·차관급 정무직 인사에 대한 임명장을 수여한 데 이어 오는 22일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한다. 이번 국무회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의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지난주 GSOMIA에 가서명하자 야3당은 국방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제출키로 했다. 청와대는 또 다음달 중순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의 박 대통령 참석을 기정사실화했다. 정무직 인사 단행, 국무회의 주재와 대국민 메시지, 해외순방 등의 행보는 사실상 국정의 전면 복귀로 볼 수 있다.
청와대는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 정국이 매우 혼란스럽지만 대통령으로서는 헌법에 명시된 기본적인 직무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검찰 조사와 특검 수사까지 받겠다고 했는데 ‘청와대가 반격을 하고 있다. 강공으로 돌아섰다’고 하는 주장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것은 국정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대통령으로서 최소한의 일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행보는 단순히 국정 챙기기 차원을 넘어 정국 해법을 놓고 분열양상을 보이는 야권에 대한 공세 전환이라는 해석까지 나온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더 이상의 정국 혼란은 곤란하다”며 “여야 영수회담을 서둘러 개최하고 해결책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수회담을 하고 야당이 좋은 분을 총리로 추천하면 대통령께서는 주저 없이 임명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가 ‘국회 추천 총리’ 카드로 야권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여권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적극적인 행보는 정국 해법을 놓고 분열하고 있는 야3당을 압박하는 뜻도 담겨 있다”고 해석했다. 야3당 대표는 전날 긴급 회동했지만 시국수습책은 내놓지 못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