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2+ 따복하우스는 정부의 행복주택을 기반으로 신혼부부 등 청년층 주거안정을 도와 저출산을 극복하자는 취지의 정책이다. 경기도형 따복하우스는 정부의 행복주택과 달리 ‘공급면적은 넓게’, ‘임대보증금 이자 지원으로 더 싸게’, ‘주민공동이용시설 등 도의 3대 시책을 결합한 고유 주거정책이다.
5일 도에 따르면 따복하우스 유형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거주자의 유형에 따라 공동공간의 용도와 디자인을 차별화한 맞춤형 주거모델로 따복하우스 설계에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형별 디자인 가이드라인
거주자 유형은 신혼·육아형, 청년형(산업단지 근로자형 포함) 등 2가지다. 신혼부부가 공급대상인 ‘신혼·육아형 따복하우스 디자인’은 안전한 자녀 양육과 지역주민 간 교류 확대에 중점을 뒀다. 저층부에는 시립어린이집, 따복맘카페 등의 편의시설과 입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오픈키친, 공동육아나눔터 등 주민 공유시설을 배치했다.
또 각 세대가 모여 주민회의나 담소를 나눌 수 있는 마을 어귀의 공용공간으로 ‘사이마루’를 마련해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교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주민공동 공간인 ‘커뮤니티데크’에는 따복 입주민들이 함께 식사할 수 있는 ‘공동주방’과 품앗이 형식으로 입주자녀를 맡아 돌보며 공동육아가 가능한 ‘육아나눔터’, ‘작은도서관’ 등이 계획된다.
‘청년형(산업단지 근로자형 포함) 따복하우스 디자인’은 커뮤니티 중심의 개방형 공유공간을 중심으로 조성됐다.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는 삶’을 목표로 스터디룸과 카페, 피트니스센터 등 이웃과 쉽게 교류할 수 있으면서도 2030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청년들에게 특화된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청년형 따복하우스는 ‘일반형 단위세대’ 외에도 전용공간을 줄이고 공유공간을 넓혀 다양한 편의시설을 구비할 수 있도록 ‘공유형 단위세대’를 적용했다.
공유형 단위세대 타입에는 각 층 중앙에 위치한 중정마루에서 함께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인 ‘오픈키친’과 식사공간 ‘소셜다이닝’이 설치되고 2층에는 입주민들의 교류를 위한 ‘데크가든’을 통해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도록 했다.
△단지 규모별 디자인 가이드라인
따복하우스 단지 규모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공동거실, 공동주방, 공동세탁실, 계절옷장, 개별창고 등 필수시설이 설치된다. 단지 규모에 따라서는 대규모(500호 이상), 중규모(200~500호), 소규모(50~200호), 극소규모(50호 이하)로 구분해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지역편의시설이 설치된다.
중규모 따복하우스에는 공동육아나눔터, 휘트니스센터, 맘스테이션, 공동텃밭 등의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시립어린이집, 따복맘카페, 오픈·플리마켓, 카쉐어링 등의 지역편의시설을 갖춰 입주민과 이웃주민들이 공동체공간을 함께 만들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된다.
이밖에 대규모, 소규모, 극소규모에는 중규모와 같이 공동주방, 공동세탁실 등 필수시설이 설치되며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지역편의시설은 규모와 주변 환경에 따라 중규모를 기준으로 가감해 선택적으로 설치될 예정이다.
△수원 광교신도시 신혼부부형 따복하우스
현재 설계 중인 수원 광교신도시 소재 따복하우스는 신혼부부 등을 대상하며 자녀 출산을 고려해 육아형 투룸으로 공급되고 전용면적 44㎡로 현행 행복주택(36㎡) 대비 22% 넓다.
저층부에는 입주민만을 위한 공유공간 외에 어린이집과 플리마켓, 이웃과 함께 식사와 모임을 할 수 있는 공동주방 ‘열린식당’을 계획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했다.
또 6층에는 입주민이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피트니스공간을, 8층과 9층에는 공동육아 공간인 육아나눔터와 어린이도서관 등을 계획해 도만의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백원국 도 도시주택실장은 “지역특성과 입주자를 고려한 혁신적인 설계를 통해 새로운 주거형태 도입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2020년까지 공급하는 모든 따복하우스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따복하우스는 올해 중 1만호에 대한 부지를 확보하고 1500여 호의 사업계획 승인을 완료해 2018년까지 1만호를 착공할 예정이다. 입주 완료시기는 2020년이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