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가공 22개사 C·D등급
작년보다 3배 이상 증가
전자도 2년새 14→20개
"내년에 더 늘 것" 관측도
[ 이태명 기자 ] 삼성전자 2차 협력업체인 A사(휴대폰 부품제조)는 2년 전만 해도 연매출 150억원, 당기순이익 10억원을 올리는 우량 중소기업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1차 협력업체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2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올해 손실 규모가 30억원으로 늘어난 이 회사는 채권은행 신용위험평가에서 C등급을 받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나서야 할 처지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대기업, 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기업 부실이 확산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른 중소기업 수는 지난해보다 한 곳 더 늘었을 뿐이지만 거의 모든 업종에서 부실 위험이 커졌다. 조선·해운 등 취약 업종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사정이 낫다고 여겨진 자동차·전자 업종에서도 부실 기업이 속출했다.
◆100곳 더 늘어난 ‘좀비 중기’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는 말 그대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운 기업을 판별하는 작업이다. 매년 말 금감원과 채권은행이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기업(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 완전자본잠식 기업 등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올해 이 조건에 든 기업은 2035개다. 지난해(1934개)보다 101개 늘었고, 2011년(1129개)보다는 900여개 가까이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초기 창업기업이 일부 있지만 1년간 벌어들인 이익으로 금융권 대출이자도 못 갚을 정도로 어려운 좀비기업이 대부분”이라고 했다.
금감원은 평가기업 가운데 경영위기가 심각한 곳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골랐다. 원칙적으로 C등급은 위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다. 올해 C등급 기업은 지난해보다 한 곳 많은 71개, D등급은 지난해와 같은 105개였다.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권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1조9720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은행권 익스포저는 1조7000억원으로 은행권이 쌓아야 할 추가충당금 적립액은 약 32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전방위로 퍼지는 부실
올해 신용위험평가에선 부실기업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는 점이 그대로 드러났다. 지난해엔 조선·해운·철강 등 이른바 취약 업종에 속하거나 건설 업종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많이 포함됐으나 올해는 거의 모든 업종에서 부실기업이 발생했다.
그 가운데서도 자동차와 전자부품 업종이 급증했다. 자동차 업종 후방산업인 금속·가공 업종에선 올해 22개 회사가 C 또는 D등급을 받았다. 지난해(8개)보다 세 배 가까이로 늘었다. 휴대폰·반도체 등 전자부품 업종 구조조정 대상 기업도 2014년 14개에서 지난해 19개, 올해 20개로 증가했다.
비제조업 분야 부실기업도 많았다. 유통업(8개), 부동산업(7개), 골프장 등 스포츠서비스업(5개) 등이 경기침체와 내수부진으로 경영난에 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동차와 전자부문 대기업 수출이 줄면서 협력사들의 경영난이 심각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내년이다. 침체된 경기가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아 내년에도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어날 것이란 게 금융권의 관측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