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정 금융부 기자) 내년도 은행업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저성장, 경기 침체는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금융시장은 매일같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 문제가 연일 불거지면서 대출 자산을 늘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와중에 그나마 은행들의 구미를 당기고 있는 건 바로 인프라(도로 등 사회기반 시설) 투자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는 당선 직후 1조달러(약 1170조원)를 인프라 건설에 투자하고 세금을 낮춰 경기를 부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수천조원 규모의 인프라 건설이 이뤄지면 아무래도 금융 주선 등 업무와 투자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는 게 은행들의 계산입니다.
최근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투자은행(IB) 부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대마진(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 중심의 전통적인 수익 구조로는 더 이상 수익성과 성장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져서죠. IB 업무를 통해 비(非)이자이익을 늘리는 것이 최대 화두가 된 겁니다. 사회간접자본(SOC) 등 인프라 투자는 대표적인 IB 업무 중 하나고요.
이 밖에 국제금융, 인수합병(M&A) 관련 인수금융, 주식과 채권 발행 주관 업무 등도 있습니다. 사실 은행 각 부서 중에서 일인당 생산성이 가장 높은 부서는 IB 관련 부서입니다. 여·수신 등 일반적인 은행 업무와 달리 리스크가 크고 고도의 금융지식이 요구되기는 하지만 그만큼 일인당 수익성도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먹거리가 줄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대규모 M&A가 줄어 인수금융 기회는 사라지고 있습니다. 과거 은행들에 쏠쏠한 수익이 되던 선박금융도 조선·해양 업황이 나빠지면서 눈에 띄게 줄었고요. 여기에 IB를 강화하려는 후발 은행들이 시장에서 수수료 인하 등 가격 경쟁에 나서면서 경쟁은 격화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각 은행은 트럼프발(發) 인프라 특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겁니다. 신한 국민 KEB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주요 은행 중 인프라 투자에 있어 선두주자로 꼽히는 곳은 국민은행입니다. 국내에서 시장을 주도해온 국민은행은 내년엔 좀 더 공격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인프라 투자를 이끌 예정입니다. 국민은행뿐만 아니라 다른 은행들도 글로벌 인프라 시장에서 보폭을 넓힐 방침이고요.
미국 신(新)행정부 출범이 국내 은행들의 새로운 사업 기회 모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좀 더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끝)/kej@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