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민간 외화유동성이 풍부하고 외환보유액도 부족하지 않아 건전성이 양호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간밤 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0.50~0.75%로 결정했다. 미국이 정책금리를 올린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1년만이다.
이 총재는 Fed의 12월 금리인상은 예상했던 결과지만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는 유의해야 할 리스크(위험)로 꼽았다.
Fed 개별 위원들의 금리 정책 전망을 담은 점도표에 따르면, 내년 금리인상은 기존 연 2차례에서 3차례로 상향됐다. 시장에선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는 "미국 금리인상 다음으로 유의해야 할 점은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변화"라며 "선진국의 긴축 속도가 빨라지면 신흥국 금융 상황이 둔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내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 국제유가의 방향성도 눈여겨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나타날 글로벌 경제의 변화, 공약 이행 여부 등을 관심있게 보고, 글로벌 경제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의 향방에 눈을 떼지 말아햐 한다는 것이다.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과제라고 답했다. 일각에선 탄핵 정국 등 대내외 불확실성과 경제전망 하향 조정 등으로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는 "통화완화 기조를 추가로 확대할 경우 가계부채 증가, 외국인 자본 유출 가능성 등이 나타난다"며 "지금처럼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때는 금융안정에 더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엔 우려스럽겠지만, 아직까진 국내 경제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외부 평가가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국내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에 대해선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는 "가계부채 증가를 완화하기 위해 범정부적으로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했지만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진 못햇다"며 "건설 경기의 과도한 위축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이 더해져 신중히 접근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재가동이 추진중인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에 대해선 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재원 마련은 금융기관이 출자해야 하는 것이라 말하며 선을 그었다.
그는 "채안펀드는 금리가 추가로 큰 폭으로 상승해 채권시장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 일종의 비상대응계획의 일환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최근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펀드의 재원은 기본적으로 금융기관 출자로 조성되는 것"이라며 "단지 필요한 경우 이 펀드의 유동성을 한은이 지원해줄 순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는 내년 금통위 회의 횟수를 줄이더라도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줄인 횟수 만큼 금융안정상황점검회의를 연다"며 "필요하다면 회의 결과를 발표할 것이고 커뮤니케이션에 혼란이 없도록 다각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2월 '2016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통해 금통위 회의 횟수를 기존 연 12회에서 8회로 조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