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경쟁력 있는 자체 기술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의 ‘기술통계조사 보고서’(2015년 말 기준)에 따르면 연구개발 시 필요한 장비를 모두 갖추고 있는 중소기업은 9.0%에 불과했다. 필요 장비를 절반도 갖추지 못한 기업도 51.5%나 됐다. 외부시설의 연구 장비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용료와 시간 제약에 대한 부담(53.9%)이 컸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2007년부터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장비 문제로 기술 개발을 중단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대학과 연구기관이 보유한 고가의 첨단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장비 이용료의 최대 70% 범위에서 3000만~7000만원까지 온라인 바우처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중소기업이 장비 지원을 신청하면 7일 이내에 가능 여부를 통보한다. 내년부터는 통보 기간도 1~2일 정도 단축할 계획이다.
중기청은 연구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이 중소기업과 대학·연구기관 모두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2007년 사업 시행 이후 올해 11월까지 누적 지원금액은 1352억원에 이른다. 한 해 평균 1500여개 기업이 공동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장비도 사용률이 올라가고 있다. 2007년 24.0%에 그친 공동 활용률은 지난해 32.3%로 증가했다. 한국산업기술대 산학협력단은 공용장비지원센터를 별도 운영하고 있다. 전문 인력 11명과 첨단 장비 32대를 갖추고 있다. 지난해에는 장비 지원 건수가 총 302건에 달했다.
중기청 관계자는 “장비 공동활용을 통해 기업은 기술 개발을 지속할 수 있고, 대학·연구기관은 장비에 대한 사용률과 연구원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