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동의 못한다" 단호히 반대
'16년 동행'그리고 대선 협력
김무성, 킹메이커…유승민, 잠룡으로
내년 대선에서 힘 합칠 듯
화학적 결합 여부가 순항 '변수'
개헌·법인세 인상도 시각차
김무성 "권력분점형 개헌해야"
유승민, 대통령 4년 중임제 선호
유승민 "법인세 성역 아니다"
김무성 "경제상황 봐서…" 신중
[ 홍영식 기자 ]
새누리당의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이 신당행에 함께 오르면서 ‘정치적 동행’을 이어가게 됐다. 지난 16년간 두 사람 모두 ‘이회창-박근혜 대통령 만들기’에 힘을 합했다면 내년 대선에선 역할이 달라지게 됐다. 김 전 대표는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킹메이커’로 나선다. 유 의원은 대선 출마를 예고하고 있다.
두 사람은 ‘K(김 전 대표)-Y(유 의원)’라인으로 불릴 정도로 정치적인 동지 관계를 유지해왔다. 새누리당 탈당 과정에서 김 전 대표가 선두 역할을 했다면 유 의원은 막판까지 고심하다 김 전 대표와 전격 회동한 뒤 같은 배를 탔다. 그런 만큼 대선에서 두 사람이 힘을 합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무(김무성)-승(유승민)’ 합작설도 나돈다.
다만 개헌이나 법인세 인상 문제를 비롯한 경제 현안, 다른 정치세력과의 연대 문제 등에선 시각차를 보여 대선 고지를 향해 ‘순항 외길’로만 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두 사람은 2000년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 시절 각각 원내수석부총무(김 전 대표)와 당 부설 여의도연구소장(유 의원)을 맡아 호흡을 맞추기 시작했다. 2004년부터는 ‘핵심 친박(친박근혜)’으로 불렸다. 2005년 김 전 대표가 한나라당 사무총장, 유 의원은 박근혜 대표 비서실장을 맡은 뒤 2007년 대선 경선 때까지 힘을 합했다.
그 후 두 사람은 박 대통령과 마찰을 빚으면서 비박(비박근혜)으로 돌아섰다. 지난해엔 새누리당 투톱(대표-원내대표)으로 손발을 맞췄지만 친박과의 갈등 끝에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국회법 개정안 파동 당시 원내대표였던 유 의원이 박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로 낙인 찍히자 김 전 대표는 “대통령을 이길 수는 없다”며 한발 물러서는 등 양측 관계가 늘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두 사람의 순항 여부는 시각이 엇갈리는 현안에 대해 ‘화학적 결합’을 잘할지에 달렸다. 두 사람은 우선 법인세 인상을 놓고 엇박자를 보인다. 유 의원은 줄곧 법인세 인상을 주장해왔다. 그는 지난해 4월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임이 입증되고 있다”며 “가진 자가 더 많은 세금을 낸다는 원칙, 법인세도 성역이 될 수 없다는 원칙까지 고려하면서 세금에 대한 합의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김 전 대표는 법인세 인상에 대해 “경제 상황을 봐가며…”라고 신중한 반응을 보여왔다.
다른 정치세력과의 연대 문제를 놓고도 의견이 갈린다. 유 의원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친박-친문(친문재인) 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한 누구와도 손잡을 수 있다’는 김 전 대표의 발언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단호한 어조로 “동의 못한다”고 했다.
유 의원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국가 안보를 제대로 지키고, 무너진 경제를 살리고, 낡은 보수를 버리고 새로운 보수의 길을 가자는 거지, ‘친박-친문만 아니면 다같이 정당을 할 수 있다’는 말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킹메이커를 자임한 김 전 대표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등을 아우르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 김 전 대표는 개헌을 고리로 제3지대에서 다른 정치세력과 힘을 합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
‘보수 신당’ 대권 유력주자인 유 의원으로선 폭넓은 연대가 달갑지만은 않다. 유 의원은 반 총장의 신당 영입 문제와 관련, “환영한다”면서도 “치열하고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했다. 또 “평생 직업외교관을 하고, 해외에서 오래 근무하고, 유엔 일만 봤는데 대한민국 개혁에 어떤 해법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의문을 표시했다.
개헌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인다. 김 전 대표는 권력분점형을 선호한다. 이는 ‘내치 총리’와 ‘외치 반기문 대통령’ 시나리오와 연결된다. 반면 유 의원은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지지한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