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는 사드 배치 문제는 한국 기업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라며 중국이 기업을 위협해 한국 정부를 압박하는 수법은 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그보다는 북한이 핵공격 위협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한국이 사드를 덜 매력적으로 여기도록 하는 게 낫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귀담아들어야 할 대목은 또 있다. FT가 “중국이 통상과 외교전략을 뒤섞어 특정국에 위협을 가하면 중국과 무역을 하는 모든 국가는 매우 곤혹스러울 것”이라며 “결국은 중국 경제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대목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비판은 FT만이 아니다. 닛케이도 지난해 12월 일본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이 중국에서 흥행몰이를 하고 있지만 일본 역시 한류를 식게 한 중국의 ‘한한령’ 같은 규제를 언제 맞을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닛케이는 “정치성이 전혀 없는 청춘영화도 유사시에는 국제정치 수단이 돼 버리는 게 중국의 문화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미 지난해 8월 ‘중국이 사드 때문에 춤과 노랫소리를 멈추게 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이 한국 연예인의 중국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비자발급을 통제하는 등으로 개입했다는 것이다. 세계가 중국의 사드보복을 고발하고 있다.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