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낙훈 기자 ]
![](http://img.hankyung.com/photo/201701/2017010866841_AA.13112634.1.jpg)
조병선 숭실대 중소기업대학원 교수(63·사진)가 사단법인 한국가족기업연구원을 설립한 이유 중 하나가 이런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쾰른대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조 원장은 기업은행 경제연구소장 출신이다. 2015년 3월 독일의 가족기업들이 글로벌 챔피언으로 도약하는 것을 보고 한국가족기업연구원을 출범시켰다.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한국에도 전통 있는 명문 장수기업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였다.
조 원장은 “가족기업은 가치관 공유를 통해 결속력을 다질 수 있고 단기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영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무척 많다”고 설명했다. 다만 사업승계가 원활하지 못하면 가족 간 분쟁이 생길 수 있고 자칫 ‘족벌주의’로 흐를 위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경영권과 소유권의 원활한 승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조 원장은 “얼마 전 한 기업인이 후계자 선정 없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네 명의 자녀가 극심한 분쟁에 휘말린 적이 있다”며 “자칫 기업이 풍비박산 날 위기에 봉착했다”고 말했다. 그는 “두 달 동안 개개인의 입장을 듣고 적합한 승계방안을 제시해 이를 해결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대부분의 경영자가 소유권 문제가 해결되면 승계에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다”며 “후계자를 누구로 할지, 배제된 사람에겐 어떤 대안을 마련해줄지, 후계자에겐 미리 어떤 교육을 할지 등 사업승계엔 수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원장은 “지난 2년 동안 다양한 후계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기업의 사업승계를 종합적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